2025.04.16 (수)

  • 구름많음동두천 21.6℃
  • 구름조금강릉 20.8℃
  • 구름많음서울 21.6℃
  • 구름많음대전 25.0℃
  • 구름많음대구 26.8℃
  • 구름많음울산 20.9℃
  • 흐림광주 22.4℃
  • 구름많음부산 17.6℃
  • 흐림고창 20.2℃
  • 흐림제주 23.6℃
  • 구름많음강화 18.6℃
  • 구름많음보은 23.1℃
  • 구름조금금산 24.7℃
  • 구름많음강진군 21.4℃
  • 구름많음경주시 25.0℃
  • 구름조금거제 18.2℃
기상청 제공

건설


6月 전국 4만 가구 집들이...수도권이 60%

 

6월은 전국에서 총 4만2,870가구가 집들이를 한다. 

 

부동산R114 REPS 조사해 23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6월 예정된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은 4만2,870가구로 2021년 11월의 4만7,404가구 이후 19개월만에 최대치로 나타났다. 전월과 비교하면 1만6,337가구 늘어난 수준이다.

 

전체 입주물량 중 수도권이 2만4,872가구, 지방이 1만7,998가구로 수도권 물량이 58% 비중을 차지했다. 전세가격이 급등세를 나타냈던 2021년과 달리, 현재는 전세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는 만큼, 전세 만기를 앞둔 기존 단지에서의 역전세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수도권 중 인천광역시 입주물량이 압도적


6월 예정된 수도권 입주물량은 총 2만4,872가구로 전년 동월(‘22년 6월 9,828가구)과 전월(5월 1만6,348가구) 대비 크게 늘어난 수준이다. 이러한 물량 증가는 서울과 인천에서 대규모 입주단지가 늘어난 영향이다. 전월 대비 지역 별 물량 변화를 비교하면 △서울(0가구→5,118가구) △경기(1만6,006가구→7,424가구) △인천(342가구→1만2,330가구) 등으로 경기도에서는 물량이 줄었고 서울과 인천에서는 물량이 늘었다.

 

입주물량 중 1,000가구 이상 주요 대단지는 ▲서울 노원구 상계동 노원롯데캐슬시그니처(1,163가구)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청량리역한양수자인192(1,152가구) ▲경기 수원시 원천동 영흥공원푸르지오파크비엔(1,509가구) ▲인천 미추홀구 힐스테이트푸르지오주안(2,958가구) ▲인천 서구 백석동 검암역로열파크씨티푸르지오1,2단지(4,805가구) 등이다.

 

지방은 전년 동월과 전월 대비 6~7천가구 늘어날 예정


지방의 6월 입주물량 총 1만7,998가구로 작년 동기(‘22년 6월 1만1,812가구)와 전월(5월 1만185가구) 대비 6,186~7,813가구 늘어날 예정이다. 부산과 충북에서 2,000가구 이상의 매머드급 입주단지가 대기 중인 영향이다. 지방 입주물량 중 매머드급 대단지는 ▲부산 동구 범일동 두산위브더제니스하버시티(2,040가구) ▲충북 청주시 오송읍 오송역파라곤센트럴시티(2,415가구) 등이다.

 

 

2021년 한 해 동안 지역에 따라 10~20% 급등했던 전세 계약들의 만기가 다가오는 가운데 부동산R114 조사에 따르면 2021년 6월 대비 현재 전세 시세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전체 중 40% 이상에서 가격이 떨어져 역전세 이슈에 노출된 상황이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이런 시장 상황에서 전국 입주물량이 전월 대비 크게 늘어나는 만큼 전세시장에 미치는 하방 압력이 상당할 전망"이라며 "특히 2년 전 전세가격이 가장 많이 올랐던 인천(2021년 20% 급등)에서의 입주물량이 두드러지게 늘어나는 만큼 역전세 소나기가 쏟아질 가능성에 미리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겠다"고 조언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재협상으로 공정한 농업통상 길 찾아야”
전종덕 의원(진보당, 비례)과 국민과함께하는 농민의길, 진보당 농민당, 전국먹거리연대, 더불어민주당 이원택·문금주 의원이 15일 국회 의원회관 8간담회의실에서 트럼프 2.0시대 농업통상의 새로운 대안 모색 토론회 ‘쌀 의무수입 이대로 좋은가?’ 토론회를 열었다. 전종덕 의원은 인사말에서 “우리 정부는 30년간 쌀 소비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며 농민들에게 재배면적 감축을 강요하지만, 정작 1995년에 WTO 의무 수입물량 기준이 되었던 1988~1990년 평균 국내 소비량이 절반 이상 줄었음을 이유로 통상국가들과 재협상을 요구해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와 통상 환경과 현안이 비슷한 일본이 ‘WTO 회원국들과 쌀에 대한 재협상을 벌이겠다’고 한 것을 거론하며 농업은 상품 생산의 일부가 아니라 국민의 생존을 지키는 근본이며,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유지하는 바탕인 만큼 토론회를 통해 통상의 대안을 모색하고 식량주권을 지켜갈 공정한 농업통상의 길을 찾는 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발제는 ‘한국의 쌀 의무수입물량 감축 및 철폐를 위한 재협상 전략(AI 기반)’을 주제로 이해영 한신대 글로벌인재학부 교수가 맡았다. 이해영 교수는 “지난 세계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