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4년 전 독도 소방헬기 추락 원인..."조종사의 비행 착각"

4년 전 독도에서 발생한 소방 헬기 추락은 당시 조종사가 강하 중인 헬기가 상승하고 있다고 착각한데 따른 사고라는 정부의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토교통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조위)가 독도 해상 소방청 헬리콥터 추락사고 조사결과를 6일 발표했다.

 

지난 2019년 10월 31일 오후 11시 25분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독도 헬기장에서 이륙한 소방청 헬기는 이륙 14초 만에 바다에 추락했다. 당시 헬기에 탑승해 있던 기장, 부기장, 구조대원, 환자, 보호자 등 7명이 모두 숨졌다.

 

사조위는 사고 발생 헬기의 제작사인 에어버스 헬리콥터, 프랑스 사고조사 당국과 합동으로 항공기 블랙박스 분석과 기체, 엔진 분해검사 등을 수행한 최종보고서를 완료해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사고의 주요 원인은 당시 조종사가 하강하고 있는 기체가 상승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공간정위상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정위상실'은 조종사가 시각 전정미로기관 등의 신체적인 착각으로 항공기의 속도, 고도 자세 등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일종의 '착시 현상'이다. 

 

기장은 대구나 울릉도에서 이륙할 때 자동 이·착륙 모드인 ‘복행모드’를 사용했고, 독도 이륙 이후에도 이 모드가 켜져있다고 생각했으나 사실은 그렇지 않았다. 

 

이밖에도 기장이 독도 헬기장 착륙을 위해 접근할 당시 인근 어선 등에서 나온 각종 불빛에 의해 시각적 착각을 경험했던 점, 중앙119구조본부와 독도 헬기장에서 승무원들 간 세부적인 임무 브리핑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 등이 공간정위상실을 유발한 2차 원인으로 꼽힌다.

 

사조위는 승무원 대상 비행 착각 훈련 강화, 주기적 야간 비행 훈련, 자동비행장치 훈련 실시 등 9건의 권고를 최종 조사보고서에 넣어 발행할 계획이다. 이후엔 최종 보고서를 소방청, 경찰청, 헬기제작사 등 각 기관에 보내 향후 이행 계획 및 결과를 제출하도록 할 예정이다.

 

최종조사보고서 전문은 사조위 누리집 (http://araib.molit.go.kr)에 공개됐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