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0℃
  • 맑음강릉 9.7℃
  • 박무서울 9.7℃
  • 박무대전 8.5℃
  • 박무대구 9.1℃
  • 박무울산 10.4℃
  • 박무광주 11.5℃
  • 맑음부산 14.4℃
  • 구름조금고창 9.1℃
  • 구름많음제주 17.1℃
  • 맑음강화 7.5℃
  • 구름많음보은 5.0℃
  • 구름조금금산 5.6℃
  • 맑음강진군 8.9℃
  • 맑음경주시 7.5℃
  • 구름조금거제 11.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7일 금요일

메뉴

과학·기술·정보


지난해 일자리 87만 개 늘었지만 절반 이상 고령층

 

지난해 일자리가 87만개 증가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그러나 일자리의 절반 이상은 60세 이상 고령층의 일자리로 나타났다. 반면 한창 일해야 할 20대와 30대 일자리 수는 제자리에 머물렀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일자리행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일자리는 총 2645만개로 전년보다 87만개(3.4%) 증가했다. 늘어난 일자리 87만 개 중 44만 개는 60세 이상인 고령층이 차지했다. 50대는 26만 개, 40대는 10만 개, 30대는 5만 개였다. 20대는 1만 개 증가에 불과했다.

 

전체 일자리 점유율은 50대가 635만개(2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 631만개(23.8%), 30대 528만개(20.0%), 60세 이상 486만개(18.4%) 순이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19.2%)이 가장 크고, 도소매(12.4%), 보건‧사회복지(9.6%), 건설업(8.2%) 순이었다. 일자리 수는 보건‧사회복지(12만개), 도소매(11만개), 제조업(9만개), 정보통신(9만개) 등에서 증가했다. 금융·보험(-1만개)업은 유일하게 일자리가 감소했다.

 

성별로 구분하면 남자 일자리가 1499만개(56.7%)로 여자 1146만개(43.3%)의 1.31배에 달했다. 전년 대비 남자 일자리는 42만개(2.9%), 여자 일자리는 45만개(4.1%) 각각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비중을 보면 제조업이 507만 개(19.2%)로 가장 많았다. 도·소매업 328만 개(12.4%), 보건‧사회복지 253만 개(9.6%), 건설업 217만 개(8.2%) 순이었다. 전체 일자리 중 임금근로 일자리는 2160만개(81.7%), 비임금근로 일자리는 485만개(18.3%)로, 전년 대비 각각 65만개(3.1%), 22만개(4.7%) 증가했다.

 

지난해 일자리의 대부분은 중소기업이 이끌었다.. 전체 일자리(2654만개) 가운데 1644만개(62.2%)는 중소기업에서 나왔고, 이어 비영리기업(561만개, 21.2%)·대기업(440만개, 16.6%) 순이었다.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1499만개(56.7%)로 여자(1146만개)의 1.31배 수준이었다. 전체 일자리의 평균 근속기간은 5.4년으로 전년(5.3년)보다 소폭 늘었다. 대기업 일자리 평균 근속기간이 7.9년, 비영리기업 7.7년, 중소기업이 3.9년으로 차이가 났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국가 차원에서 마련해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소방본부는 이날 발표한 기자회견문을 통해 "수많은 동료가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소방관의 고통에 대한 국가의 체계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고, 소방관 한 명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은 커지고 있어 현장 사고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현장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현장을 잘 아는 지휘체계와 안전관리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또 실질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들의 목소리를 듣고 고충과 현실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고 적인 헌수막을 내건 소방본부는, ▲소방관 안전에 대한 국가 책임 강화, ▲인력 충원 및 예산 확충, ▲응급의료체계 개선, ▲소방관 PTSD(외상후스트레스장애) 대응책 마련, ▲대통령과의 대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