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4.6℃
  • 구름많음강릉 27.5℃
  • 맑음서울 25.9℃
  • 구름많음대전 24.9℃
  • 구름많음대구 25.2℃
  • 구름많음울산 25.1℃
  • 구름많음광주 24.9℃
  • 흐림부산 25.7℃
  • 구름많음고창 25.0℃
  • 흐림제주 22.9℃
  • 맑음강화 25.2℃
  • 구름많음보은 23.3℃
  • 구름많음금산 23.5℃
  • 구름많음강진군 24.9℃
  • 구름많음경주시 26.8℃
  • 흐림거제 24.1℃
기상청 제공

정보


K화장품 수출 85억 달러로 세계 4위 …1000억 이상 기업 12개

지난해 국내 화장품 중국 수출액이 전년 대비 20% 넘게 감소했으나, 미국, 유럽, 일본 등으로 수출은 증가해 재작년보다 6.4% 늘어난 85억 달러(약 11조원) 세계 4위를 유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3 국내 화장품 생산·수입·수출 실적'을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작년 화장품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약 28억 달러(약 3조6천억원)로 5년째 가장 많았으나, 규모는 2022년 대비 23.1% 감소했다.

 

반면, 작년 북미 수출액은 13억 달러(약 1조7천억원), 유럽 수출액은 11억 달러(약 1조4천억원)로 재작년 대비 44%, 49.7%씩 급증했다.

 

작년 미국 수출액은 전년 대비 44.7% 증가한 12억 달러(약 1조6천억원)를 기록하며 처음 10억 달러를 넘었다. 작년 미국의 화장품 수입액 비중은 국내 제품이 중국을 넘어 5위에 올랐다.

 

이밖에 작년 중동 수출액도 전년 대비 39.9% 늘었고 오세아니아는 39.2%, 중남미는 28.7% 증가하며 수출국이 165개국으로 확대되면서 수출 다변화 흐름을 보였다.

 

특히 지난해는 미국으로 화장품 수출이 10억달러를 돌파하면서 수출액이 재작년보다 44.7% 높아지면서 미국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중국을 제치고 5위를 차지했다.

 

일본 내 수입 화장품 중 우리나라 화장품이 21.6%를 차지하며 프랑스(19.8%)를 체지고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입액은 재작년보다 1.5% 감소한 16억 달러(1조7145억원)를 기록해 지난해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국가별로는 프랑스(4.9억 달러, +5.3%), 미국(2.6억 달러, -5.8%), 일본(1.1억 달러, -10.9%), 태국(0.7억 달러, +8.9%), 영국(0.6억 달러, -6.8%) 순이었으며, 화장품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품(4.5억 달러, -6.3%), 방향용 제품(2.6억 달러, +1.0%), 색조화장품(1.7억 달러, +13.8%) 순이었다.

 

◇ 색조화장품, 립제품 중심으로 생산 증가액 가장 많아

 

지난해 국내 화장품 대부분 유형에서 생산이 증가하여 전년 대비 6.8% 증가한 14조5102억원을 기록했다.

 

유형별로는 기초화장용(7조9455억(54.8%), 색조화장용 2조1328억(14.7%), 인체세정용 1조8902억(13%), 두발용 1조5467억(10.7%)이었다. 

 

특히 색조화장품은 립제품 중심으로 가장 많은 생산 증가액(+28.2%, +4,689억원)을 보이며 기초화장품에 이어 생산액 2위를 차지했다.

 

인체세정용 제품의 생산액은 폼클렌저, 화장비누 등 사용이 늘면서 재작년 대비 3.9% 증가(+718억원)했고, 아이섀도 등 눈화장 제품, 두발 염색 제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각각 9.9%(+314억원), 11.2%(+33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액은 재작년 대비 18.2% 증가한 5조4391억 원으로 총생산액의 37.5%를 차지했다.

 

식약처 관계자는 "복합기능성제품이 증가 추세인 것은 다양한 기능의 제품을 한 번에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업계의 기술력 상승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1,000억 원 이상 기업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

 

지난해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업체는 1만1861개였다. 또 생산액 1,000억 원 이상 업체 수는 재작년 7개에서 지난해 12개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액 10억 이상 업체 수는 773개, 10억 미만 업체 수는 1만1088개였다.

 

지난해 화장품 생산액은 엘지생활건강 3조4954억 원(+2.0%), 아모레퍼시픽 3조2340억 원(-7.3%), 애경산업 3180억 원(+17.8%), 애터미 1766억 원(-0.8%), 클리오 1602억 원(+36.2%) 순이었다.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 생산액과 상위 10개 품목 생산액은 지난해 대비 각각 4.0%(249억 원), 3.4%(4,011억 원) 감소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