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1인가구 취업자 역대 최대…맞벌이 가구 600만 돌파 역대최고

- 월급 100만원 미만 1인 가구 늘고, '주말부부' 비동거 맞벌이, 최대폭 늘어

 

지난해 하반기 고용개선 흐름이 이어지면서 맞벌이 가구와 1인 가구 비중이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맞벌이 가구 및 1인 가구 취업 현황'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1인 가구는 738만8000가구로 집계됐다. 이중 취업한 가구는 467만5000가구로 전년보다 12만 가구 늘었다.

 

1인 가구 중 취업한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63.3%로 0.2%포인트(p) 상승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15년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1인 취업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30~39세가 109만가구로 가장 많았다. 60세 이상 가구가 106만6000가구로 그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9만7000가구 늘며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0만가구를 웃돌았다. 60세 이상 1인 가구 중 취업한 가구 비중도 39.5%로 1.7%포인트 상승했다.

 

임금수준별로 1인 취업 가구를 나눠 보면, 200~300만 원 미만이 34.0%, 300~400만 원 미만이 24.8%, 400만 원 이상이 20.0%였다. 100만 원 미만 가구 비중이 11.1%였고 100~200만 원 미만은 10.0%였다.

 

1인 취업 가구 열 가구 중 한 가구 이상이 월 100만 원도 벌지 못했고, 다섯 가구 중 한 가구 이상은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월소득을 올렸다.

 

연령별로 보면 1인 취업 가구는 30~39세 109만가구, 60세이상 106만6000가구, 15~29세 90만7000가구, 50대 83만5000가구, 40대 77만7000가구였다.

 

전년 대비 증가폭은 60세 이상이 1.7%포인트로 가장 컸다. 이어 50대 1.4%포인트, 40대 0.3%포인트 순이었다. 15~29세는 1.1%포인트 하락했고 30대는 0.6%포인트 줄어들었다.

 

직업별로는 단순노무자 가운데 월급 100만원 미만이 40.8%로 다른 임금 구간보다 비중이 높았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의 36.0%,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의 30.4%가 월급 100만원 미만을 받고 있었다.

 

지난해 하반기 배우자가 있는 가구는 1268만7000가구로, 이 중 맞벌이 가구는 611만5000만 가구로 지난해 대비 26만8000가구 증가했다. 비중은 지난해 대비 2.1%포인트 상승해 48.2%를 기록했다. 유배우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중은 48.2%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동거 맞벌이 가구는 530만2000가구로 17만8000가구 늘었으며, 비동거 맞벌이 가구는 81만2000가구로 9만1천가구 늘어 역대 최대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주말 부부' 등으로 같이 살지 않으면서 수입 활동을 하는 부부가 크게 늘어난 것을 의미한다.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는 232만6000가구로 1년 전보다 12만9000가구 증가했다. 18세 미만 자녀를 둔 유배우 가구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56.8%로 전년대비 3.5%포인트 상승했다.

 

막내 자녀의 연령별로 살펴보면 맞벌이 가구는 7~12세 87만6000가구, 6세 이하 81만8000가구, 13~17세 63만2000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유배우 가구 대비 맞벌이 가구 비중은 13~17세(62.6%)가 가장 높았고 7~12세(58.6%), 6세 이하(51.5%) 순이다.

 

자녀 수별로 보면 1명인 경우 맞벌이 비중이 57.2%, 2명일 때 맞벌이 비중은 57.0%였다.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맞벌이 비중은 53.1%로 2명 이하일 때보다 낮았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민변·시민단체 “석포제련소 폐쇄 등 정부 차원 TF 구성해야”
더불어민주당 강득구·임미애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낙동강 석포제련소 TF,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11일 국회 소통관에서 ‘석포제련소 토양오염 원인규명 국민권익위 결과 발표 및 환경오염 기업 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낙동강 1300리 주민 집단 손해배상청구’ 관련 기자회견을 열었다. 민변 석포제련소 TF와 낙동강 상류 환경 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는 이날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주범 영풍 석포제련소는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 1,300리를 병들게 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의 위법 행위와 환경 파괴는 이제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는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됐다”며 “오염의 진실을 바로잡고 피해 주민들의 건강권과 환경권율 회복하며, 정의로운 전환을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5년 3월, 낙동강 1300리 지역의 주민들은 영풍 석포제련소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하며 국민권익위원회에 고충 민원을 제기했다. 그리고 지난 7월 7일, 권익위는 해당 민원에 대해 공식 의결했다”고 전했다. 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부 장관은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