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고수’ 워런 버핏(93)이 애플 지분을 절반 가량 절반 정도를 매각하자 세계 주식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무엇보다 미국 경기침체를 우려와 경기 둔화 리스크를 자극할 요인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R(Recession)의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3일(현지시간) 버크셔해서웨이가 공표한 2분기 실적 발표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버크셔가 보유한 애플 주식 시가총액은 842억달러(약 115조원)로, 3월 말보다 38% 급감했다. 이로써 버핏의 보유 자산중 현금 비율은 역대 최대인 2769억달러(약 377조원)를 갖게 됐다.
또한 버핏은 대형 투자은행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중국 최대 전기차 제조사인 비야디(BYD) 같은 주요 종목들도 대거 처분했다.
이번 공개는 애플이 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매출이 성장세로 돌아서고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능으로 아이폰 판매량이 늘어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낸 지 며칠 만이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애플 주식 지분을 올해 들어 절반 수준으로 대폭 줄인 데 대해 “버핏이 높은 미국 주식시장 가치평가에 대한 부담 때문에 적절한 투자처를 찾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을 잘 대변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부진한 고용지표 등을 감안해 미국의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점을 주목하고 있다.
이는 일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엔화를 저렴하게 빌려 미국 빅테크주에 투자하는 것) 청산, 중동 지정학적 우려, 재조업 위축에 의한 미국 실업률 4.3%, 인공지능(AI) 산업의 수익에 대한 우려와 엔비디아 변동성 확대 등이 불안요소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에 월가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9월 ‘빅컷(기준금리 0.5%p 인하)’을 단행을 하기 전 이달내 긴급 회의를 통해 금리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과잉 반응하지 말라”면서 투자자들의 침착함을 권고했다.
클리어스테드 어드바이저의 수석 매니징 디렉터 짐 아와드는 “버핏이 곧 경기침체에 들어간다고 생각해서 나중에 주식을 싸게 매수하기 위해 현금 보유를 늘리는 것일 수도 있다”고 예상했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7월 미국 실업률이 4.3%를 기록하며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하자, 미 증시는 경기 침체 우려 공포에 이틀 연속 패닉셀링(Panic selling)에 약세를 기록했다”며 “시장 전반의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위험회피(Risk-off) 선호 현상이 강화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