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3℃
  • 맑음강릉 8.4℃
  • 맑음서울 4.7℃
  • 맑음대전 7.1℃
  • 맑음대구 7.8℃
  • 맑음울산 8.5℃
  • 구름조금광주 9.4℃
  • 맑음부산 9.1℃
  • 구름조금고창 8.1℃
  • 구름조금제주 12.3℃
  • 맑음강화 4.4℃
  • 맑음보은 5.3℃
  • 맑음금산 6.4℃
  • 구름조금강진군 10.4℃
  • 맑음경주시 7.7℃
  • 맑음거제 8.8℃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메뉴

국내


이재명,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예고에 “중대 범죄 저지른 것 분명”

“극악스러울 정도로 거부하는 것 보면 엄청난 죄를 지은 것 같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할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 “무언가 중대 범죄를 저지른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다, 대통령부터 여당이 아주 입에 달고 살던 말 아닌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극악스러울 정도로 거부하는 것을 보면 엄청난 죄를 지은 것 같다. 특검을 이렇게 반복적으로 거부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지 않겠나”라며 “그 엄청난 정치적 손실을 감수하고도 감춰야 될, 피해야 될 잘못된 진실이 있겠지”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슨 수를 써서라도 반드시 진상을 규명하고 진상 규명을 방해한 범죄행위의 실상을 낱낱이 규명해서 그에 상응하는 엄정한 책임을 반드시 묻겠다”며 “지금 이 순간은 피할지 몰라도, 영원히 피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국정 운영과 관련해선 “배추 한 포기가 2만 2천 원 한다. 대체 어떡하려고 하는가”라며 “국정이라고 하는 것이 국민의 삶을 보살피는 것 아닌가. 희망이 없으면 희망을 만드는 것이 바로 정치 아니겠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국민의 삶에 관심을 갖지 않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무관심은 죄악”이라면서 “관심을 가지는 것이 의무 아닌가. 국민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 민생 현장이 어떤지를 실제로 살피고 최소한 노력은 해야 될 것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한편 박찬대 원내대표는 어제(26일) 민생회복지원금법과 방송4법, 노란봉투법이 국민의힘의 반대로 결국 폐기된 것과 관련해 “민생을 살리고 방송 독립성을 확보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법안을 반대하는 대통령과 여당의 행태를 강력하게 규탄한다”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민생경제와 국민의 삶을 포기하겠다’, ‘민주주의를 거부하겠다’, ‘노동자의 권리는 안중에도 없다’는 것과 뭐가 다른가”라고 꼬집었다.

 

이어 “식용개 한 마리당 60만 원 지원은 되고, 국민 1인당 25만 원 지원은 절대 할 수 없다는 정부의 태도에 국민이 개보다 못한 대접을 받는다는 탄식이 쏟아지고 있다”고 힐난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 열고 공모 수상작 공개
세종학당재단(이사장 직무대리 사무총장 최현승)은 27일, 노보텔 앰배서더 서울 강남에서 ‘2025 세종학당 수료생·후원단체 교류회’를 개최했다. ‘꿈을 키우다, 세종학당의 길’을 주제로 한 이번 교류회에는 국내에서 유학 중이거나 취업한 세종학당 수료생 54명과 이들을 후원하고 있는 기업, 대학 관계자 등 70명이 참석해 상호 교류와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교류회에선 후원단체들에 대한 장학생들의 감사한 마음을 전하고, 서로를 격려하고 응원하는 자리를 가졌다. 베트남 하노이1 세종학당을 수료하고 재단법인 한글누리 장학생으로 선발된 ‘팜 응옥 꾸잉 니(덕성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등은 한국 유학 생활 경험과 각자의 꿈을 공유하기도 했다. ‘2025 세종학당 수료생 한국 생활 수기 영상 공모전’의 수상작들도 공개됐다. 꿈을 향해 나아가는 K-대학생, K-직장인으로서의 고민, 성장, 도전에 관한 이야기가 담긴 다양한 작품을 통해 세종학당 수료생들의 생생한 한국 생활기를 만나볼 수 있었다. 세종학당재단은 세종학당 출신 학습자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한글누리, KB국민카드, 한글과컴퓨터 등 후원단체와 함께 장학 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 2015년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