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3.7℃
  • 맑음강릉 18.3℃
  • 맑음서울 13.0℃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5.8℃
  • 맑음광주 12.7℃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3.5℃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0.9℃
  • 맑음금산 11.4℃
  • 맑음강진군 14.0℃
  • 맑음경주시 16.1℃
  • 맑음거제 15.3℃
기상청 제공

국내


박찬대, 尹 연이은 거부권에 “대한민국, 김건희 왕국 아니다”

“대통령 오만과 독선, 5천만 국민의 미래 위태롭게 만들고 있어”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30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열린 ‘김건희 특검법’·‘순직해병특검법’·‘지역사랑상품권법’ 거부권 행사 규탄 야5당 긴급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은 김건희 왕국이 아니라 민주공화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대한민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최순실 뺨치는 국정농단의 진원지, 김건희를 특검하라”면서 “억울하게 순직한 채해병 수사 외압을 특검하라. 민생 지원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민생을 되살려라”라고 강한 어조로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정부는 국무회의에서 또다시 재의 요구를 의결했다. ‘김건희 특검법’, ‘순직해병특검법’, ‘지역사랑상품권’을 모두 거부하겠다”며 “국민의 추상같은 명령을 외면했다”고 일갈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하면, 벌써 22번째, 23번째, 24번째 거부권 남발이다. 독재자 이승만의 독보적인 45회 거부권 뺨치는 기록이자, 87년 민주화 이후 최다 거부권 남발 기록”이라며 “국회의 입법권을 깡그리 무시하고, 삼권 분립의 헌법정신을 짓밟는 윤 대통령의 거부권 폭정을 국민의 이름으로 규탄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4년 대한민국의 모든 의혹은 김건희로 통한다. 도이치모터스 주가 조작, 양평고속도로 특혜 게이트, 순직 해병 수사 외압, 마약 수사 무마 의혹, 총선 공천 개입 의혹 등 구린내 진동하는 모든 의혹의 한 가운데에 김건희 여사가 있다”며 “대한민국이 김건희 왕국으로 전락했다는 탄식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해병대원이 억울하게 죽은 지 1년이 지났지만, 진실은 아무것도 밝혀지지 않았다. 그런데도 순직 해병 특검을 거부하는 이유가 뭔가”라며 “자고 나면 김 여사를 둘러싼 새로운 의혹이 고구마 줄기처럼 줄줄이 나온다. 그런데도 김건희 특검을 거부하는 이유가 뭔가. 특검을 거부하는 자가 범인이다. 죄를 지었으니 특검을 거부하는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범죄를 은폐하고 수사를 방해하는 대통령은 대통령 자격이 없다. 민생을 외면하고, 국민과 싸우는 대통령은 대통령 자격이 없다”며 “고작 5년짜리 무도한 권력이, 겁도 없이 대한민국을 망치고 있다. 대통령의 오만과 독선이 5천만 국민의 미래를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고 힐난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을 버린 대통령, 범죄를 옹호하고, 부정부패를 묵인한 대통령으로 역사에 남지 않으려면, 거부권을 포기하고 특검을 수용하라”며 “또다시 특검을 거부한다면 기다리는 것은 국민적 저항과 정권 몰락뿐”이라고 경고했다.



배너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이용우, 시민·환경 단체 “환경부,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 규탄”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시민·사회·환경 단체는 25일 김완섭 환경부 장관을 향해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용우 의원과 국립공원무등산지키기시민연대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국립공원의 심장에 케이블카라는 칼을 꽂으려는 시도를 당장 멈추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난 4월 4일 국립공원위원회에서 환경부가 보고한 ‘국립공원 전문위원회 구성·운영 방안’은 사실상 케이블카 확대 명분을 찾으려는 노골적인 의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김완섭 장관은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 출석해 국립공원위원회 전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케이블카 확대 여부에 대한 재논의를 시도하는 이유를 설명하며, 현행 방침이 ‘15년 전 결정’이고 ‘민원이 빗발친다’는 이유로 공직자의 할 일을 한다는 식의 궤변을 늘어 놓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김 장관의 태도는 자연과 생태계를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할 수 있도록 국립공원을 관리해야 하는 환경부 장관의 책무를 망각한 것”이라며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시범사업만 보더라도 케이블카를 확대하는 것이 얼마나 신중해야 할 문제인지를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