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메뉴

건설


경기침체에도 작년 부동산시장 양호...아파트, 세종 빼곤 올랐다

전년대비 거래량 3%, 거래금액 19.8% 증가
상가·사무실 거래량 하락...서울만 거래액 상승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2024년 연간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 거래 특성 리포트를 13일 발표했다. 부동산플래닛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전국 부동산 거래량 및 거래금액은 전년 대비 상승곡선을 그리며 4년 만에 반등을 이뤘다. 

 

 

●부동산 거래금액 전년比 19.8%↑...전국아파트 거래량·거래금액 세종 제외 전년比↑

 

2020년 이후 하락세를 보이던 전국 부동산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지난해 상승세로 돌아서며 반등에 성공했다. 2024년 전국 부동산 거래량 103만5195건으로 전년(100만4753건) 대비 3.0% 상승했으며 거래금액은 304조2765억원에서 364조6555억원으로 19.8%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총 9개의 부동산 유형 중 4개 유형의 거래량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오피스텔은 전년 대비 20.7%, 아파트는 14.2% 증가하며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고 상업·업무용빌딩은 6.6% 연립·다세대는 4.5% 늘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는 5개 유형에서 상승세가 포착됐다. 먼저 상업·업무용빌딩이 전년 대비 44.4% 증가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이어서 아파트(31.3%), 오피스텔(27.5%), 연립·다세대(11.0%), 토지(0.2%) 순이었다.

 

반면 전년 대비 거래량이 감소한 5개 유형에서는 공장·창고 등(일반)의 하락폭이 7.4%로 가장 컸고 토지는 6.9%, 단독·다가구 4.8%, 상가·사무실 3.8%, 공장·창고 등(집합)은 1.1% 감소했다. 거래금액에서는 공장·창고 등(집합)이 16.4%의 하락률을 보였으며 공장·창고 등(일반)(6.2%), 상가·사무실(5.1%), 단독·다가구(4.2%) 등이 뒤따랐다.

 

 

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아파트 거래량은 43만182건으로 2023년(37만6740건)과 비교해 14.2% 증가했으며 거래금액은 전년(150조3042억원) 대비 31.3% 오른 197조3848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7월 거래량은 4만8692건으로 2021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고 같은 달 거래금액은 2020년 12월 이후 최고치인 27조2863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4분기에는 월간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3개월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이 전년 대비 동반 상승했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지역은 서울로 연간 거래량은 3만3659건에서 56.2% 늘어난 5만2559건, 거래금액은 35조6934억원에서 75.7% 오른 62조7038억원으로 확인됐다. 이어서 전북의 거래량과 거래금액은 전년 대비 각각 18.4%, 30.0% 증가했고 경기는 각각 18.0%, 27.4% 상승했다.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하락 흐름을 보인 세종의 거래량은 전년 대비 12.7%, 거래금액은 1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가·사무실은 거래량과 거래금액 모두 하락... 오피스텔 전북 거래량·거래금액 급증

 

지난해 전국에서 이뤄진 상가·사무실 거래건수는 3만9734건으로 4만1302건을 기록했던 전년에 비해 3.8% 줄었다. 거래금액 또한 같은 기간 16조352억원에서 15조2250억원으로 5.1% 하락했다.

 

전년과 비교해 거래량이 증가한 곳은 부산(31.8%)과 인천(28.2%), 서울(12.2%) 등 3개 지역에 그쳤으며 거래금액이 상승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서울이 유일했다. 지난해 서울의 상가·사무실 거래량은 직전년도(7051건)보다 12.2% 증가한 7912건을 기록했고 거래금액은 6조883억원에서 6조4735억원으로 6.3% 늘었다.

 

지역별 거래량 및 거래금액 감소세는 제주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제주의 상가·사무실 거래량은 2023년 1510건에서 지난해 821건으로 45.6% 줄었으며 거래금액은 2501억원에서 1641억원으로 34.4%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오피스텔은 9개의 부동산 유형 중 거래량 상승폭이 가장 컸다. 2024년 전국에서 매매가 성사된 오피스텔은 총 3만3011건으로 전년(2만7356건)에 비해 20.7% 증가했다. 거래금액은 2023년(5조4366억원)대비 27.5% 상승한 6조9336억원으로 집계됐다.

 

거래량은 시도별로 증감이 혼재했다. 전국 17개 시도 중 11개 지역에서 거래량 증가 추이를 보인 가운데 전북에서는 566건의 거래가 이뤄지며 전년(195건) 대비 190.3% 상승했다. 다음으로는 경남(55.5%), 경북(39.1%), 경기(38.7%), 대구(33.8%), 제주(33.2%)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거래량이 감소한 6개 지역 중에서는 울산(13.3%)의 낙폭이 가장 컸고 이어서 대전(10.3%), 광주(8.6%), 충북(7.8%), 전남(5.9%), 부산(2.0%) 순이었다.

 

거래금액 기준으로도 전북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총 10개 시도에서 오피스텔 거래액이 증가했으며 특히 전북의 거래금액은 957억원으로 직전년도(291억원)보다 무려 228.9% 급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서가 승인해 놓고 불법이라고?...국민혈세 400억 낭비될 위기
일선 경찰서의 승인 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경찰청 본청이 ‘불법’으로 규정하고 철거를 지시하면서 최소 400억 원 이상의 국민 혈세가 낭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7일 진행된 국감에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모경종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과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같은 경찰청의 정책 혼선은 지난 1년간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전국 지자체들은 어린이보호구역, 사고 위험 교차로 등에 교통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스마트 교통안전 시설물 설치를 확대해왔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지자체는 관할 경찰서에 협의를 요청했고, 일선 경찰서들은 "사고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는 등의 공문을 보내 사실상 설치를 승인했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경찰청은 2024년 8월, 돌연 전국 시·도 경찰청에 “전국 통일된 규격과 지침을 제정하고 있다”며 추가 설치를 중단하라는 공문을 하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5년 7월, 해당 시설물이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교통안전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며 표준 규격으로 ‘불채택’ 결정을 내렸다. 심지어 경찰청은 불채택 결정 바로 다음 날에 이미 설치된 시설물들이 「도로교통법」에 근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