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2 (토)

  • 맑음동두천 -5.7℃
  • 맑음강릉 -2.2℃
  • 구름조금서울 -3.8℃
  • 구름조금대전 -2.6℃
  • 맑음대구 -1.3℃
  • 맑음울산 -2.0℃
  • 맑음광주 -1.4℃
  • 맑음부산 -0.1℃
  • 흐림고창 -4.8℃
  • 구름많음제주 2.6℃
  • 맑음강화 -6.1℃
  • 구름많음보은 -2.7℃
  • 구름많음금산 -2.5℃
  • 맑음강진군 -0.6℃
  • 맑음경주시 -1.4℃
  • 맑음거제 0.4℃
기상청 제공

국내


박찬대 “권영세, 12월3일 국회 있었어도 표결 불참 궤변”

“내란의힘 여당 대표, 비상계엄 옹호하고 내란 부정하는 망언”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8일 국민의힘을 향해 “‘내란의힘’이 되기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면, 하루빨리 광기와 망상에서 깨어나 상식과 이성을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촉구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권영세 비대위원장은 어제 비대위 회의에서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과 곽종근 전 특전사령관의 증언을 마치 거짓인 것처럼 왜곡하며 실제 내란 행위가 없었던 것 아니냐는 막말을 서슴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원내대표는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의 망언이 도를 넘었다”며 “12.3 내란 사태 종식과 국가 정상화에 그 누구보다도 더 앞장서야 할 여당의 대표가 비상계엄을 옹호하고 내란을 부정하는 망언을 일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관훈클럽 토론회에서는 12월 3일 국회에 있었더라도 표결에는 참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며 “덮어놓고 야당과 똑같이 행동하는 것은 여당으로서 할 일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무장한 군대가 국회를 침탈하는 상황을 국민이 생중계로 지켜봤다”며 “12.3 내란 사태의 진실은 헌재의 탄핵 재판과 검찰의 공소장을 통해 낱낱이 밝혀지고 있다. 노상원 수첩을 통해 계엄이 성공했을 때 어떤 참극이 벌어졌을지 확인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야당이랑 같이 행동하면 안 되기 때문에 비상계엄 해제 표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말이 나오는가”라며 “12.3 내란은 헌법과 법률은 물론, 국민의 평균적인 상식을 무참히 짓밟은 명백하고도 엄중한 범죄”라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권 비대위원장은 이 모든 사실을 부정하고 말도 안 되는 궤변과 헛소리로 12.3 내란을 비호하고 헌재를 공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창원지검이 어제 발표한 명태균 게이트 중간 수사결과와 관련해 “예상대로 알맹이가 쏙 빠진 쭉정이 맹탕 발표였다”며 “창원지검은 대통령 등의 공천 개입, 여론조사 결과 조작, 여론조사 비용 대납 등 명태균 게이트 핵심 의혹을 밝히기 위해 대통령실 관계자와 국민의힘 전현직 국회의원 등 100여 명을 소환조사하고 61곳을 압수수색했다고 숫자를 나열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11월 명태균과 윤석열·김건희 부부의 공천 관련 통화 내용을 담은 수사 보고서까지 만들어 놓고, 진도는 하나도 나가지를 못했다”며 “창원지검이 새로 한 일이라고는 김영선과 명태균 등을 다른 혐의로 추가 기소하고, 공익제보자 강혜경 씨를 사기와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한 것뿐”이라고 힐난했다.

 

아울러 “실제로 공천 개입과 국정농단의 몸통인 김건희에 대한 소환 조사나 압수수색은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시민사회단체 “동물권행동 카라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보장하라”
카라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가 21일 “현 전진경 대표와 이사진의 독단적 운영으로 단체의 투명성과 민주성이 훼손되기 시작했다”고 주장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카라 정상화를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노동위원회, 민주노총 전국민주일반노동조합 서울본부는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동물권행동 카라 노동자들의 정당한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노조탄압 중단 및 정상화”를 촉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해 카라 정상화 대책위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는 “동물권행동 카라는 비영리 시민단체로서 지난 20여 년간 동물권 운동에 당당히 앞장서 왔으나. 현 전진경 대표와 이사진의 독단적 운영으로 단체의 투명성과 민주성이 훼손되기 시작했다”며 “후원회원과 활동가들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창구가 모두 사라지고, 비정규 직이 급증했으며, 퇴사자가 60여 명에 이르며 구조 동물의 복지까지 저해되자 단체를 살리려는 활동가들이 모여 노조를 결성했다”고 밝혔다. 이어 “노조가 결성되자 이사진은 문제 해결과 화합을 도모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2024년 총회에서 ‘셀프 연임을 단행했고, 노조 핵심 임원에 대한 부당징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