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같은 경기도지만 동네에 따라 아파트값이 다른 '지역 분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가격지수는 1.85% 올랐다. 경기도 과천 아파트 실거래가격은 17% 뛰었지만, 안성과 평택은 5% 내렸다.
과천 다음으로는 성남 분당구(8.36%), 수정구(7.85%), 하남(5.96%)의 아파트 실거래가 상승률이 높았다. 이들 지역 모두 서울 강남권과 지리적으로 가깝다는 공통점이 있다. 과천, 하남에는 선호도가 높은 신축 아파트가 모여있는 점도 집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과천 실거래가는 2023년에도 18.03% 올라 2년간 상승률이 38.38%에 달한다. 나아가 과천 인근의 부천 원미구(4.78%), 안양 동안구(4.76%), 수원(4.52%), 구리(4.28%)는 4%대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경기 내에서도 외곽인 안성 아파트 실거래가는 지난해 5.42% 하락했고, 평택은 5.38% 떨어졌다. 이천(-3.99%), 포천(-3.25%), 용인 처인구(-2.42%) 아파트값도 약세다.
대표적인 옆세권 과천시와 성남시가 주목받는 이유에는 이들 지역이 강남권과 인접해 직주근접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교통 인프라를 통해 강남의 생활 편의를 누릴 수 있는 것이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옆세권 현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을 넘어 지방 주요 도시에서도 마찬가지다.
대구 수성구 중동은 ‘대구의 강남’이라 불리는 수성구 범어동과 인접한 중동의 ‘수성푸르지오리버센트’는 2023년 5월부터 12월까지 실거래가가 약 1억 원 상승했다. 대전 서구 둔산동과 인접한 탄방동의 ‘둔산자이아이파크’는 2023년 대전에서 가장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전세가율이 낮아 서울 외곽 지역에 적은 돈으로 갭투자를 할 여건이 되지 않는 상황에서 출퇴근이 편한 핵심지역과 강남에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서울지역의 값비싼 매매가 때문에 가까운 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는 현상은 더 두르러질 것이다"며 "최근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2월 매매 가격이 강남 주변의 풍선효과와 똘똘한 한 채를 가지려는 추세이기 때문에 경기도 분당이나 지역 핵심도시 인근의 수요도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