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3 (일)

  • 맑음동두천 8.3℃
  • 맑음강릉 18.3℃
  • 연무서울 10.9℃
  • 맑음대전 12.0℃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1.1℃
  • 맑음부산 15.4℃
  • 맑음고창 10.1℃
  • 맑음제주 19.3℃
  • 맑음강화 8.5℃
  • 맑음보은 7.2℃
  • 맑음금산 12.1℃
  • 맑음강진군 8.8℃
  • 맑음경주시 10.2℃
  • 맑음거제 14.0℃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가트너 “생성형 AI, 모바일 앱 개발·데이터 보안 재편할 것”

코딩 자동화, 온디바이스 등 2026년 기업 80%, AI 코딩 어시스턴트 구현
머신 ID 관리, 사이버 보안 번아웃 문제 등 사이버 보안 트렌드 6가지 분석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서비스가 모바일 앱 개발·데이터 보안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3일 가트너에 따르면 생성형 AI는 코딩 자동화, 모바일 앱 프로토타입 제작 속도 향상, 온디바이스 기능 구현을 통해 모바일 앱 개발 판도를 바꿀 것으로 예상했다. 현재는 안드로이드·iOS 등 모바일 운용체계(OS)별 앱을 각기 개발해야 하지만, 코딩 자동화 등 생성형 AI 하나로 개별 코딩을 최소화로 동시에 개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가트너는 AI 코딩 어시스턴트를 도입하는 기업 비율이 2026년에는 8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개발자들이 자연어 기반 명령·설명으로 자동으로 코딩하는 것은 물론, 오류를 탐지하며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의미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없이 디바이스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온디바이스 기반 생성형 AI를 도입할 경우 효율은 극대화된다. 데이터를 프라이빗하게 처리해 유출 위험을 줄여 개인화와 프라이버시가 강화되고, 디바이스 기반 코딩으로 클라우드 서버 비용과 네트워크 지연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가트너는 2025년 주요 사이버 보안 트렌드로 ▲데이터 보안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생성형 AI(GenAI) ▲머신 ID 관리 ▲전술 AI ▲사이버 보안 기술 최적화 ▲보안 행동 및 문화 프로그램 가치 확장 ▲사이버 보안 번아웃 문제 해결을 트렌드로 꼽았다. 이러한 트렌드는 생성형 AI의 발전, 디지털 탈중앙화, 공급망 상호의존성, 규제 변화, 고질적인 인재 부족 문제, 끊임없이 진화하는 위협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고 밝혔다.

 

알렉스 마이클스(Alex Michaels) 가트너 시니어 수석 애널리스트는 “보안 및 위험 관리(SRM) 리더들은 혁신과 복원력 내재화를 올해 목표로 삼고 다양한 도전과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 혁신을 넘어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기업의 안정성을 구현하기 위해 SRM 리더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