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 후보가 15일 국회 소통관에서 정책 공약 비전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한동훈 예비 후보는 이날 대선 핵심 공약으로 ‘성장하는 중산층’을 제시하면서 성장을 위한 밑거름으로 인공지능(AI) 산업에 200조 원을 투자할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AI 3대 강국·국민소득 4만 달러·중산층 70%라는 ‘3·4·7’ 미래 성장 비전을 제시했다.

한 예비 후보는 “선진국이 된 지금 우리는 중산층을 더욱 키워야 한다”며 “중산층은 스스로를 진짜 중산층이라고 느낄 수 있어야 하며, 서민층은 의지와 노력만 있다면 중산층으로 도약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AI 혁명이 막 시작된 지금 세계 3대 AI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며 “이를 위해 AI 인프라에 150조 원 등 총 200조 원 투자를 제안한다”고 했다.
그는 “국민소득 4만 달러가 돼도 세금이 과하다고 느끼면 삶은 여전히 팍팍할 수밖에 없다”며 “‘성장하는 중산층’을 실현하기 위해 국민의 근로소득세 부담부터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부양가족 인적공제의 기본공제를 현행 150만 원에서 200만 원으로 늘리는 안을 제안했다. 자녀 기본공제는 첫째 250만 원, 둘째 300만 원, 셋째 이상은 400만 원으로 확대하고 육아휴직자에 대한 법인세 세액공제도 신설하겠다고 했다.
이어 “기본소득 같은 현금 복지보다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성장을 돕도록 서비스 복지부터 챙기겠다”면서 ‘한평생복지 계좌’ 도입, 복지 구조조정을 담당할 부총리급 ‘사회보장부’ 신설, ‘늘봄학교’ 확대 등을 제시했다.
한 예비 후보는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자세로 경제 문제를 풀겠다”며 “그 출발점이 바로 중산층 복원이며, 이는 곧 경제 안보, 사회적 가치, 혁신 경제로 확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중도층이 늘면 자유민주주의도 굳건해진다”며 “중도와 중용의 가치를 중시하는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