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전국 대부분 지방에 건조주의보가 발효된 가운데 경북·강원 일대에서 산불이 잇따라 발생했다. 경북 고령·영양·성주군에서 난 산불은 모두 진화된 상황이고 강원 평창 진부면에서 일어난 산불은 현재 산림·소방 당국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날 오후 1시 11분경 경북 영양군 입암면 노달리 주변 야산에서 불이 나 임야 0.1ha(헥타르)를 태운 뒤 1시간여만에 진화됐고 오후 1시 37분경 경북 고령군 다산면 송곡리 야산에서 불이 나 오후 3시께 진화됐다. 오후 4시 56분경에는 경북 성주군 선남면 관화리 야산에서 불이 나 산림 당국이 헬기 7대를 투입해 진화작업을 벌여 오후 5시 48분경 큰불을 잡았다. 같은날 오후 4시 44분경 강원 평창 진부면 신기리 인근에서 산불이 났다. 불은 바람을 타고 일대로 번지면서 산림·소방당국은 주변 민가 3가구 거주 주민들을 대피시키고 민가 방어 및 산불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 산림청은 오후 6시 30분을 기해 해당 지역에 산불 1단계를 발령했다. 충남에서도 산불이 잇따랐다. 오후 3시 17분경 충남 보령시 미산면 남심리에서 산불이 나 산림·소방당국이 헬기 4대와 지휘차, 진화차, 소방차 등 장비 10대, 인력 69명을
경남 하동 산불현장 통합지휘본부는 12일 오전 9시 기준 지리산 국립공원 산불 현장 진화율이 63%로 파악되고 있다고 밝혔다. 산불영향구역은 약 91ha(헥타르), 잔여 화선은 총 1.7km로 파악된다. 인근 주민 74명이 마을회관 등으로 안전하게 대피했고 현재까지 산불로 인한 시설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산림 당국은 12일 오전 6시 46분 일출 시각에 맞춰 헬기 28대를 다시 띄워 산불 공중 진화를 시도 중이다. 현재까지 주민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되나 지난 11일 밤 현장에 투입된 진주시 산불예방진화대원 1명이 심정지 증세로 갑자기 쓰러져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한편 산불이 발생한 하동 지역은 이날 비 예보가 내려져 자연 진화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산림청은 비가 내릴 경우 시계(물체가 보이는 범위) 제한으로 헬기 동원이 어려워져 오전 중 화개면 산불을 진화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11일 오후 3시 50분 경남 하동군 화개면에서 발생한 산불 경보가 2단계로 격상됐다. 2단계는 피해 추정 면적이 30~100ha(헥타르) 미만이거나 초당 평균 풍속이 7~11m, 진화 시간이 8~24시간일 경우 발령된다. 2단계에서는 관할·인접 기관 인력과 기용 장비를 동원하고 광역 단위 기용헬기를 전부 투입한다.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에 따르면, 이날 산불은 오후 1시 20분경 하동군 화개면 대성리 산 203-2 일원에서 발생했다. 현장에는 순간풍속 초속 10m 강한 바람이 불고 있고 화선 총길이는 약 3.4km로 파악된다. 산림당국은 산불영향구역을 57ha로 추정중이며 산불진화헬기 20대와 산불 진화장비 30대, 산불진화대원 276명을 긴급히 투입해 산불진화에 총력 대응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