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2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건설


고강도 부동산 규제에 청약통장 몰리는 ‘비규제 지역’

청약, 대출, 전매제한 등 규제 덜해 외지인 청약까지 몰려

 

비규제지역 분양시장이 심상찮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규제로 일부 비규제지역 아파트 값이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신규 분양 단지에 청약통장이 대거 몰리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실제 비규제지역 내 아파트는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을 보면 지난 8월 춘천에 공급된 ‘e편한세상 춘천 한숲시티’ 전용면적 84.83㎡는 5억9500만원에 거래돼 전년 동기 대비 1억1200만원 오르며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같은 달 충남 아산에 있는 ‘요진 와이시티’ 전용면적 84.35㎡는 7억원에 거래돼 1년 새 1억6000만원 상승해 신고가를 경신했다.

 

업계에서는 이들 지역의 가격 상승을 규제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청약, 대출 조건이라고 분석한다. 비규제지역은 청약통장 가입기간 6개월 이상이면 주택이 있어도, 세대주·세대원 관계없이 누구나 1순위 청약이 가능하며, 재당첨 제한이 없고, 당첨사실과 관계없이 청약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은 최대 70%까지 가능하고, 분양권 전매 제한 기간은 없거나 최대 6개월로 짧다.

 

이렇다 보니 비규제지역 분양 단지로 청약 통장이 몰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의 올해 8월까지의 청약경쟁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과 특별시를 제외한 지방 청약경쟁률 상위 10곳 중 5곳은 비규제지역이었다. 창원 마산회원구에 분양한 ‘창원 롯데캐슬 센텀골드’가 평균 70.58대 1의 경쟁률을 거뒀으며, 충남 아산에 공급한 ‘힐스테이트 모종 네오루체’는 평균 61.27대 1을 기록했다. 이밖에 전북 군산에 짓는 ‘더샵 디오션시티 2차’, ‘군산 호수공원 아이파크’가 각각 58.77대 1, 55.14대 1을 기록하며 뜨거운 청약 열기를 보였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비규제지역 프리미엄이 입소문을 타며 신규 분양 단지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며 “부동산 규제가 상대적으로 덜한 만큼 외지인 투자도 이어지고 있어 비규제지역 청약 열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조만간 비규제지역에 분양 예정인 단지는 ▲강원 춘천 ‘학곡지구 모아엘가 그랑데’(762가구) ▲경남 ‘거제 반도유보라’(292가구) ▲경북 ‘포항 아이파크’(1144가구) ▲경남 ‘더샵 진주피에르테’(798가구) 등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한요양보호사협회 “수급자 또는 보호자 서명의무화 폐지 해야”
대한요양보호사협회(이하 협회, 회장 고재경)는 1일 국회 소통관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 17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열고, 7월 1일을 법정 기념일인 ‘요양보호사의 날’로 제정할 것을 촉구했다. 협회는 성명에서 요양보호사는 기저귀 교체, 체위변경 등 강도 높은 업무에 시달리면서도 폭언과 폭력, 불안정한 고용 형태, 최저 임금 수준의 저임금과 낮은 사회적 인식에 따른 사기 저하 등 매우 열악한 근로 환경에 처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요양보호사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요양보호사의 날’을 법정 기념일로 제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요양보호사의 수급 부족이 심각하다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인권을 보호하고 처우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서명이 불가능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서명 의무 폐지를 촉구했다. 이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의 ‘스마트 장기요양 앱’의 개편 과정에서 장기요양보험제도의 허술한 민낯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협회는 “수급자의 상당 수는 와상 상태, 인지능력 저하, 중증 치매 등으로 서명을 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 그런데 수급자의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