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메뉴

경인뉴스


용인지역내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높은 1인 가구 적극 대처

용인시, 1인 가구의 위기 신호 감지 및 사고 예방 위해 원스톱 안전망 구축
한전·SK텔레콤·(재)행복커넥트와 AI지킴이 ’업무협약'
10월까지 300곳 1인 가구 대상 …안전망 구축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높은 용인지역내 1인 가구의 위기상황에 대해 용인특례시가 적극적으로 대처한다.

 

▲업무협약식 모습 (좌로부터 최낙훈 SK텔레콤 부사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이건행 한국전력공사 경기본부장, 이준호 (재)행복커넥트 이사장) <용인시 제공>

 

용인특례시(시장 이상일)는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험이 높은 1인 가구의 위기 신호 감지 및 사고 예방을 위해 원스톱 안전망 구축에 돌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오늘(10일) 한국전력공사, SK텔레콤, (재)행복커넥트와 시청 접견실에서 ‘AI 안부든든서비스’ 시범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용인시에 따르면 "'AI 안부든든서비스'는 AI(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전력, 통신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1인 가구의 위험을 감지하고 예측해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신개념 사업"이라고 설명했다.

 

1인 가구에서 일정 기간 휴대폰이나 전화 등의 통신기기나 전기 사용량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상 상황으로 간주해 1차로 AI 전화 서비스로 안부를 확인 하는 것. 안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관제센터에서 직접 전화로 확인하고 이상이 감지되면 읍·면·동 담당자에게 즉시 통보한다. 읍면동 담당자들은 통보 즉시 대상 가구를 방문해 직접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이날 협약식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이건행 한국전력공사 경기본부장, 최낙훈 SK텔레콤 부사장, 이준호 (재)행복커넥트 이사장 등 관계자 20명이 참석했다.

 

협약기관들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을 시범 운영하면서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함께 노력키로 했다.

 

협약에 따라 한국전력공사는 대상 가정에 AMI(차세대 지능형 에너지 검침 시스템,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을 설치한다. AMI는 전력 데이터를 생성·제공하고 원격검침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다.

 

SK텔레콤은 통신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련 데이터가 ‘AI누구비즈콜’(NUGU bizcall)로 연계되도록 한다.

 

(재)행복커넥트는 앱과 관제 서비스를 운영하고 2차 유선 안부 확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4개 기관은 이달부터 오는 10월까지 관내 취약계층 300가구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운영한다.

 

시는 이 시스템이 사회적으로 고립될 위기에 처한 1인 가구의 위험을 감지하고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1인 가구의 사회적 고립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런 서비스를 경기도에선 용인시에 가장 먼저 시범 도입할 수 있어서 뜻깊다”며 “시범 사업을 잘 운영해서 위기가구를 발굴하고 도울 수 있는 모범 사례로 이 서비스가 널리 확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