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20일 수요일

메뉴

국내


권영국 “유시민 작가, 설난영 '여성의 삶' 비하 발언, 사과하라”

“유 전 이사장, 노동자에 대한 멸시와 엘리트주의 느껴져”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가 30일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배우자 설난영 여사에 대해 발언한 것과 관련해 “노동자 여성의 삶을 비하할 권리는 아무에게도 없다”고 강조했다.

 

권영국 후보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문수 후보에게 노동운동을 팔 자격이 없듯, 유시민 역시 여성을 노동운동의 조연으로 치부할 자격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후보는 “지난 겨울 광장의 목소리가 열망한 새로운 사회는 여성이 결혼을 통해 어떤 자리에 오르거나, 그래서 ‘남편에 대해 비판할 수 없다’고 간주되는 것은 아닐 것”이라며 “이는 설난영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여성 일반에 대한 힐난이고 여성혐오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유시민 씨의 발화에는 노동자에 대한 멸시와 엘리트주의가 느껴진다. 노동자들을 ‘무지’한 존재, ‘열등’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음을 느낄 수밖에 없다”며 “이 역시 변절자 설난영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노동자 일반에 대한 조롱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선거운동 기간 설난영 씨의 언행은 많은 사람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비판받아 마땅하다”면서도 “오늘 우리 사회의 노동인권은 ‘대학 못 간’, ‘여성’, ‘노동자들’이 투쟁해 쟁취해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서울대 나온 엘리트 남성들은 사회를 망쳐온 것에 반성해야 한다”면서 “유 씨가 자신의 실언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하시길 권고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유 전 이사장은 지난 28일 공개된 유튜브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서 설 여사에 대해 “유력 정당의 대통령 후보 배우자라는 자리가 설난영 씨의 인생에서는 갈 수 없는 자리다. 그래서 이 사람이 지금 발이 공중에 떠 있다. 대통령 될 가능성은 제로”라면서 “본인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 거다. 그러니까 ‘제정신이 아니다’라는 그런 뜻”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됐다.

 

한편, 강훈식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유 작가 발언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을 받고 “특정인의 발언에 대해 말하기보다는 선대위는 물론이고 모든 민주진보 진영 스피커들에게 발언에 신중해야 한다고 전하고 있다”며, “민주진영 스피커에는 국회의원이 포함될 뿐 아니라 당원들 모두가 포함된다”며 “이런 발언 하나하나에 조심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문신사중앙회·소상공인연합회 “‘문신사법’ 복지위 소위 상정 환영”
대한문신사중앙회는 20일 “문신사 법안은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대 국회부터 발의했으며,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거쳐 영업환경 및 자격체계를 마련하는 내용으로 연구용역까지 완료된 상태”라며 “국회가 더 이상 논의를 미루지 말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소상공인연합회와 (사)대한문신사중앙회는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소위에 ‘문신사법’이 상정된 것을 환영하며, 해당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문신사법은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합법화하고, 문신사를 전문직으로 인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국민의 안전과 건강한 생활권을 보호하는 법안이다. 임보란 대한문신사중앙회회장은 이날 국회 앞 기자회견에서 “지난 12년간 문신사 제도화를 위해 쉼 없이 싸워왔다”며 “중앙회는 네 차례에 걸친 집단 헌법소원 제기, 국회 앞 릴레이 시위, 4차례의 대규모 집회 그리고 대법원 판례 변경을 위한 법률 대응까지 이어오며 문신사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이번에 상정된 법률안이 소위를 통과한다면 문신사가 전문직으로서 법적 지위를 인정받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송치영 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이어 “문신산업 종사자 대부분이 영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