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메뉴

산업


가전·모바일·컴퓨터 전 부문 석권…삼성전자서비스, 'AS품질' 1위

AI 사전 케어 알림, 고객 약속 자동 조정 등 혁신 서비스 지속 도입

 

 

삼성전자서비스가 국내외 공신력 있는 기관의 ‘서비스 품질’ 평가에서 가전, 모바일, 컴퓨터 부문 1위를 차지하며 고객 신뢰를 다시금 입증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달 26일 산업정책연구원이 발표한 ‘2025 국가서비스대상(NSA)’에서 가전제품 AS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3일 밝혔다.

 

가전 제품의 상태를 사전에 점검해주는 예방 진단, 고객 맞춤형 관리, 체계적인 사후지원 등 3단계 차별화된 서비스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는 '2025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에서는 컴퓨터 및 휴대전화 AS 부문에서 24년, 22년 연속 1위에 선정됐다. 해당 부문 조사가 시작된 이래 단 한 번의 예외 없이 20년 이상 1위를 지켜온 기록이다.

 

삼성전자서비스는 ▲품질 중심의 서비스 ▲고객 입장을 고려한 친절 응대 ▲편리한 서비스 경험 ▲사회적 책임 실천 등 전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특히 2000년 국내 최초로 ‘IT 제품 원격 진단 서비스’를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스마트폰과 가전까지 점검 범위를 확대해, 엔지니어 방문 없이도 빠르게 제품 상태를 진단받을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최근에는 AI 기반의 ‘사전 케어 알림 서비스’도 선보였다. 삼성 통합 플랫폼 스마트싱스와 연동된 AI가 ▲제품 작동 정보 ▲이상 신호 등을 분석해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고객에게 먼저 알림을 제공하는 선제적 관리 서비스다.

 

또한 서비스 신속성을 높이기 위해 ‘고객 약속 자동 조정 시스템’을 도입해 출장 예약 취소 시 대기 고객 일정을 자동으로 앞당겨 더 빠르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삼성전자서비스는 고객의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는 다양한 방안도 운영 중이다. 업계 최초로 시행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단품 수리’는 손상된 부분만 분리 교체하는 방식으로 수리비 부담을 최대 37% 줄이고, 전자폐기물도 크게 감소시키는 친환경 서비스다.

 

주말이나 공휴일에도 긴급 점검이 가능한 ‘주말케어센터’를 유일하게 운영해 고객 편의성을 높였으며, 삼성전자서비스 홈페이지(www.samsungsvc.co.kr)나 콜센터(1588-3366)를 통해 예약하면 언제든 점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국감] 함진규 사장 “휴게소 음식 이미지 개선 위해 노력”
16일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국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의 맛과 가격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이날 국토위는 한국도로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한국도로공사서비스, 자동차손해배상진흥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은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에게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가성비가 일반 음식점 대비 어떻다고 생각하느냐”고 질의했다. 함 사장은 “저도 휴게소 음식을 자주 먹는데 개인적으로 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시중 일반 음식점 대비해 음식의 질과 가격이 불만족스럽다는 게 국민들의 일반적인 인식”이라고 지적했다. 함 사장은 “그래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지난 6월 음식 페스타도 개최하고 전국의 유명 맛집들을 유치하기 위해 최선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답했다. 가격이 많이 오른 부분에 대해서는 “가격이 오른 이유는 농산물 가격이 오른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가격 안정을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개별 운영 업체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특정 업체의 운영권 독점, 휴게소의 수준 문제 등을 한국도로공사 이미지 쇄신 측면에서 한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