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 협상 과정에서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라는 이름의 대규모 조선업 협력 프로그램을 공식적으로 제안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미국 내 조선산업 부활을 목표로 하며, 수십조 원에 달하는 민간 투자와 금융 지원 방안을 포함한 패키지 형태다.
28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25일(현지시간) 뉴욕 소재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의 자택에서 열린 비공개 협의 자리에서 패널 자료를 활용해 MASGA 프로젝트 구상을 직접 설명했다. 미국 측은 이 제안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업명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구호 ‘MAGA(Make America Great Again)’에서 착안해 ‘조선(Shipbuilding)’을 추가한 것이다. 핵심 내용은 ▲한국 민간 조선사의 미국 현지 생산시설 신설·확충 ▲이를 뒷받침하는 한국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 ▲기술·인력 이전 등이다.
한국 정부는 미국 측에 ‘1천억 달러+α’ 규모의 투자 패키지를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일본(5,500억 달러), EU(6,000억 달러) 등과 비교하면 총액은 작지만, 그린필드형(실질적 직접 투자) 중심이라는 점에서 실제 경제적 효과가 더 클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과 유럽이 발표한 대규모 투자 약속은 상당 부분이 ‘보증’ 위주로 부풀려진 수치라는 분석도 있다.
통상 전문가들은 “한국은 단순 자금 지원이 아니라 미국이 필요로 하는 조선 기술, 인력 양성, 조선소 운영 경험까지 함께 제공할 수 있다”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미국 내 제조업 부흥’ 전략과 맞닿아 있어 차별적 협상력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앞서 일본은 대규모 금융 보증 패키지를 약속한 뒤 미국과의 자동차·상호관세를 각각 15% 수준으로 낮추는 성과를 거뒀다. 한국 정부도 이번 MASGA 제안을 통해 8월 1일 관세 협상 시한 이전에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통령실 역시 최근 발표에서 “미국 측이 조선 분야 협력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양국이 실질적 합의 가능성을 모색 중”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