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18일 월요일

메뉴

건설


서울, 전·월세살이 ‘무주택가구’ 비율 51.71% 이상

임대사업자 소득도 서울이 최고 수준...상승률 2%대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서울의 무주택가구 비율이 절반을 웃돌며 2년 연속 상승했다. 무주택가구는 가구원 중 단 1명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가구다. 자가 주택이 없어 전세나 월세를 살고 있는 가구라는 뜻이다.

 

1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주택소유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무주택가구는 961만8,474가구로 집계됐다. 전년(954만1천100가구)보다 약 7만7천가구 늘어난 것으로 전체 가구(2천207만가구)의 43.6% 수준이다.

 

무주택가구는 2020년 처음 900만 가구를 넘어선 뒤 2년 만에 950만 가구를 넘어섰다. 집값 상승에 더해 청년·고령층 저소득 1인 가구가 늘어난 점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무주택가구 수가 506만804가구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경기 지역이 238만2천950가구로 17개 시도 중 가장 많았고 서울이 214만3,249가구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무주택 가구 증가세가 뚜렷하다. 2023년 서울 무주택 가구는 서울 지역 전체(414만1,659가구)의 51.7%를 차지했다. 17개 시도 중 무주택가구 비율이 50%를 넘는 곳은 서울이 유일하다.

 

2021년 51.2%였던 서울 무주택가구 비율은 2022년 51.4%를 기록한 뒤 2023년까지 2년째 올랐다. 전국 시도 중 2년 연속 '나홀로' 상승세다.

 

서울이 나머지 지역보다 무주택가구 비율이 높고 최근 상승세가 뚜렷한 것은 서울과 지방 간 집값 격차가 반영된 결과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서울 지역은 이른바 '강남 불패론' 탓에 매년 투자 수요가 몰리면서 집값이 뛰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집값을 밀어올리는 요인 중 하나는 식지 않은 부동산 투자 열기다. 전·월세 부담도 커지는 추세다.

 

서민들의 전·월세 부담이 서울을 중심으로 커지면서 임대사업자들의 소득도 지역별 양극화가 뚜렷해지고 있다.

 

2023년 귀속분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은 1,774만원으로 전년(1,768만원)보다 소폭(0.3%) 상승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지역의 1인당 임대소득은 2,408만원에서 2,456만원으로 2.0% 오르며 큰 폭으로 증가했다. 1인당 부동산 임대소득이 2,000만원을 웃도는 지역은 17개 시도 중 서울이 유일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