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8일 열린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한은은 지난 2021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기준금리를 0.5%에서 3.5%로 올려놓은 뒤 1년 7개월간 금리를 묶어뒀다. 그러다 작년 10~11월 연달아 금리를 내린 후 올해 들어 동결(1월·4월·7월), 인하(2월·5월)를 번갈아 결정한 바 있다.
이번 한은의 금리 동결의 주된 근거로 서울부동산 시장과 가계부채 추세를 들고 있다.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전망은 지난 6월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낮추는 등 고강도 규제에 나선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반등한 상황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값은 8월 첫째주 0.14% 상승하며 전주(0.12%) 대비 0.02%포인트 올랐다.
또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이달 7일 기준 760조8800억원으로 지난달 말보다 1조9100억원 늘어났다. 일평균 2700억원으로, 대출 규제 후 증가세가 꺾였던 7월 일평균(1300억원)의 2배가 넘는다.
2%포인트 역대 최대로 벌어진 한미 금리차도 인하 결정을 내리기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정책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지만, 고용과 물가 지표를 확인할 필요가 남아 있어 더 지켜봐야 한다는 판단이다.
다만 추후 금리 인하가 재개될 가능성도 있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에 맞춰 금리를 내려, 통화 정책의 효과를 극대화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전문가들과 시장은 금통위가 10월께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대출·집값 추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 결정 후 한·미 금리차, 추가경정예산(추경) 집행 효과, 미국 관세 협상 전개 상황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최지욱 한국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연구원은 "상반기 부동산 거래와 가계대출 데이터를 토대로 10월께 금리 인하 가능성은 충분하다. 현재로서는 한국은행의 예상처럼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반등할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그는 "이재명 정부의 6.23 부동산 대출 규제로 장기적인 효과를 거둬야 한은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의 명분이 생긴다"며, "부동산 시장이 급격하게 반등할 요소는 적지만 일각에서는 추가적인 공급대책 부재시 당국의 금리 인하를 늦출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9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인하 재개, 트럼프 관세정책 등 대외 리스크 관련 요인과 국내 금융안정 측면을 점검한 후 연내 한 차례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