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오피니언


[홍기빈 칼럼] 어려운 시기

자본주의 경제에 경기순환 즉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알려진 것은 20세기가 다 되어서야 벌어진 일이다. 불황을 일컫는 여러 영어 표현이 있지만 그 대부분 또한 19세기 말에 새로이 출현한 것들이다.

하지만 화폐 경제의 일상을 살아가면서 생존해야 하는 민초들 입장에서는 가뜩이나 살기 힘든 자신들의 삶이 더더욱 피폐해지는 이러한 경기불황의 현실을 그 전부터 몰랐을 리 없다. 이들이 옛날부터 쓰던 더 오래된 ‘불황’의 영어표현 중에 ‘어려운시기(hard times)’라는 말이 있다. 내 개인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표현이다.

내가 이 표현을 좋아하는 이유는 이러하다. 경기 불황을 나타내는 다른 표현들은 대부분 물가, 실업률, 경제성장률 등의 가공의 경기지수들의 추이를 경험적 현실의 바탕으로 삼는다. 이런 것들은 물론 서로 연결되어 있고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그 중심에 있는 ‘생활세계’에서의 가장 살아있는 핵심은 사람들의 삶이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지수들은 그러한 핵심적인 진실의 일면을 나타낼 뿐, 그 핵심을 나타내지 않는다.

하지만 여기서 엉뚱한 주객의 전도가 벌어져서 사람들의 삶의 어려움은 그저 ‘주관적인’ 감정일 뿐, 실제의 ‘객관적’ 현실은 그 몇가지의 지수들이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이는 특히 경제에 대해 많이 배운 이들일수록 그러한 경향을 띤다. 일찍이 1850년대에 나온 찰스디킨스의 소설 [어려운시기(Hard Times)]가 바로 그러한 이야기를 전한다. 경제의 불황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루말로 형언할 수 없는 여러불행과 아픔을 겪고 있건만, ‘아담스미스’와 ‘맬서스’ 등을 제자로 거느린 합리적인 공리주의자 주인공은 이 모든 현실들을 다숫자와 평균치로 바꾸어서 이야기하며 그것이 과학이라고 주장한다.

전세계적으로 ‘어려운시기’가 또 닥쳐오고 있다는 불길한 조짐이 갈수록 현실화되고 있다. 벌써 전세계 수많은 도시에서 수많은 이들이 ‘99%’를 외치면서 길바닥을 점령하고 있다. 앞으로도 마찬가지의 일이 벌어질 것이다. 이들은 또다시 ‘어려운시기’를 몸으로 겪으며 뚫고 가겠지만, 막상 경제를 좌지우지하는 이들은 몇 가지 숫자와 도식으로 문제에 접근하려고 할 것이다.

그러면서 또 이들은 몇가지 숫자를 들면서 갑론을박을 벌이고 이길이 맞다 저길은 틀리다 등등의 주장을 내놓을 것이다. 이러한 숫자와 개념과 주장이 오고 가는 가운데에도 삶이 어려운 처지에 있는 이들은 여러 가지 불행과 고통을 더 맛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시기를 몸성히 살아가기 위해서는 숫자와 개념과 주장에 너무 속지말고, 자신의 경제 생활을 스스로 돌보면서 스스로 필요하고 유의미한 정보를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 발나아가 경제 전체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를 알고 싶으면 옆에 있는 이웃들이 하루하루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세심하게 살펴가며 자신의 삶과 비추어 볼 필요가 있다.

[손에 잡히는 경제]를 진행했던 지난 10개월간이 그러한 시기였고 나도 그러한 역할을 하는데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어 보고 싶었다. 청취자, 애독자들게 작별을 고해야겠지만, 우리 각자 어디에 가서 무얼하며 살더라도 서로가 어떻게 하루하루 경제생활을 꾸려가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서로를 살피는 마음만은 함께 간직하자고 부탁드리고싶다. 다가오는 ‘어려운시기’, 우리모두 잘 이겨내기 위해서 함께 애쓰자.



글/ 홍기빈<손에잡히는경제> 진행자 |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MBC 이코노미 매거진 11월호 P.020>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택배노조 “한진택배,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
전국택배노동조합 경기지부는 30일 “일방적인 배송수수료 삭감과 ‘관리비’ 명목의 이중 수수료 강탈을 규탄한다”며 “수수방관하는 원청 한진택배는 각성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과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와 국회는 대리점 갑질 구조 개선을 위해 노조법 2조·3조를 개정하라”고 밝혔다. 김찬희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 한진본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여주대리점에서는 배송 수수료를 일방적으로 깎고 ‘관리비’라는 이름으로 매달 20만원을 내는 조합원도 있다”며 “그 중심에는 원청 한진택배의 책임 회피와 묵인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찬희 본부장은 “한진택배는 실질 사용자인데, 현재의 노조법은 문서상의 계약만 보고 책임 여부를 따진다”면서 “실질적으로 지배·통제하고 이윤을 가져가는 자가 사용자로 인정돼야 책임도 지고, 교섭에도 응하고, 불법도 막을 수 있다”고 노조법 2·3조 개정을 촉구했다.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택배노동자와 대리점의 갈등 뒤에는 돈만 챙기는 택배회사가 있다”면서 “대리점의 부당한 조치의 근본적인 원인은 ‘원청’ 택배회사에 있지만, 택배회사는 이를 나 몰라라 하고 있고, 노동자는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