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9.6℃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돌침대 리스톤, 암 예방에 효과적

인도의 쿠룬타, 한국의 돌침대

하루 종일 서서 또는 앉아서 생활을 하는 현대인들은 중력에 의해 척추가 어긋나기 쉽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이 되는 신체부위로, 33개의 작은 원형 모양이 뼈로 구성되며 척추뼈 가운데 터널같은 빈 공간으로 중추신경으로 지나므로, 장기적인 척추 손상을 방치하게 되면 척추뼈가 균형을 잃고 어느 한 부위로 치우치게 되고, 이는 '디스크'를 발병시키거나 중추신경을 자극하여 이를 지나는 각각의 주요 장기 손상으로 암을 유발하게 된다.

 

인도의 요가에서 사용되는 600년 전통의 '쿠룬타'라는 도구가 있다. 굳어져 있는 등 뒤의 근육을 풀어주는데 아주 효과적인 도구다. 쿠룬타의 효능은 다양하다. 척추와 허리, 오십견과 같은 어깨 문제를 예방하고 자연스럽게 호전되도록 만들고, 특히 잠 자기 전에 쿠룬타를 이용하여 스트레칭을 할 경우 근육 긴장을 이완시키면서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인도에 쿠룬타가 있다면 한국에는 돌침대가 있다. 딱딱한 스톤 매트리스에서 잠을 자게 되면 불편한 부위가 있을 것이다. 그 부위를 주목해야 한다. 하룻동안 어긋나 있던 척추뼈가 잠을 자는 동안 가지런히 정렬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이미 척추뼈가 많이 어긋나 있다면 딱딱한 스톤 매트리스에 적응을 하는 시간이 꽤 걸릴 것을 예상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돌침대 회사 리스톤에서는 3D Mesh Air Pad를 제안한다.

 

3D Mesh Air Pad는 딱딱한 돌침대가 낯선 고객들을 위해 1cm정도 최소 두께로 최대 쿠션감을 제공한다. 리스톤에서 판매 중인 3D Mesh의 경우, 독일에서 의료용으로 제작된 제품으로 물이 흡수 되지 않고 투과되어 세균 번식으로부터 안전하며, 기존 침구류에서 문제가 되는 미세먼지 걱정까지 덜어주고 있다. 현재 의료용으로 제작된 독일산 3D Mesh Air Pad는 리스톤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 가능하다.

 

또한 리스톤은 약 35년간 한국 돌침대의 돌판넬을 제작 납품한 경험을 바탕으로 1cm두께의 얇은 돌판넬 제조기술인 '마블키스공법'을 개발하여 국제특허에 성공한 회사로, 초경량 스톤 매트리스를 탄생시켰다. 그 결과 온수보일러를 활용할 수 있는 스톤 매트리스를 제조하여 전자파로부터 안심할 수 있고, 연 전도율을 높일 수 있어 타 돌침대 제품보다 3분의 1가량 저렴한 전기료를 발생시킨다.

 

현재 리스톤의 스톤매트리스와 3D Mesh Air Pad는 판교에 위치한 쇼룸에서 직접 체험해 볼 수 있고, 오는 28일부터 대구백화점 본점에서 초대전으로 만날 수 있다. 기타 행사에 관련한 자세한 문의는 본사 또는 공식 홈페이지(www.leestone.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시민단체들 '尹 탄핵' 대환영..."이제 검찰·극우 내란세력 척결"
"사필귀정(事必歸正)이요, 사불범정(邪不犯正)이다." 헌법재판소가 마침내 '내란수괴' 윤석열에 대한 파면을 선고를 하자 한국노총을 비롯한 경실련, 참여연대, 공무원연맹, 공공단체 노조,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등 시민단체들은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국민과 함께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적극적으로 환영하며, 대한민국 헌정 질서를 지키기 위한 이번 결정이 민주주의와 법치주의 원칙을 확인하는 중대한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했다. 공무원연맹은 "공무원 노동운동을 대표하는 조직으로서 한국노총과 함께 이번 사태를 국가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혁과 공직사회 발전의 계기로 삼을 것을 다짐하며, 앞으로도 대한민국의 공직자로서 민주주의를 바로 세우고 헌정 질서를 지키는 일에 국민과 함께 앞장서 나갈 것이다"고 다짐했다. 참여연대 역시 "윤석열 파면은 내란의 완전한 종식과 민주주의 회복으로 가는 첫걸음이다.내란 우두머리 윤석열은 일부 판사와 검찰의 협잡과 합작으로 석방된 상태다"며 "검찰과 법원은 윤석열을 재구속하고 처벌하여 법과 정의를 바로 세우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별법 제정 등을 통해 남아 있는 내란 세력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처벌도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나아가 한국노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