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국내 엔젤투자가 1,000억 원을 돌파했다.
26일 중소기업청(이하 중기청)은 2015년 엔젤투자 1,399억 원 규모이며, 개인투자가 급감한 2004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엔젤투자는 개인들의 돈을 모아 창업하는 벤처기업 등에 자금을 지원해주고 주식으로 그 대가를 받는 투자다.
중기청은 “현 정부에 들어 엔젤투자가 2013년 이후 연평균 57.2%의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해 투자실적에 대한 소득공제가 2018년까지 가능한 점을 고려할 때 실제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했다.
투자의 전문성, 규모의 경제, 투자리스크 완화, 포트폴리오 구성 등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 개인투자조합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13년 조합 수와 투자금액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2015년 조합 수는 89개 결성액은 446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1.8%, 9.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상반기까지 조합수는 100개를 넘기는 등 엔젤 투자 결성 및 투자규모가 꾸준한 증가 추세에 있다.
아울러 정부는 엔젤투자를 받으면 바로 벤처확인을 받을 수 있는 전문엔젤 제도도 도입했다. 특히 엔젤매칭펀드의 수혜를 받은 기업은 신뢰성이 높아져 엔젤투자 → 모태펀드 엔젤매칭투자 →VC 후속투자로 이어져 성장에 필요한 추가 자금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엔젤매칭펀드로부터 투자를 받은 기업의 21.1%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벤처캐피탈로부터 907억 원의 후속투자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엔젤투자 동향에서 건당 투자금액은 5천9백만 원으로, 건당 1천만 원 ~ 5천만 원 구간이 전체의 42.8%로 가장 많았다.
중기청 박용순 벤처투자과장은 “작년 벤처투자 최고치에 이어 엔젤투자도 최고치를 기록한 것은 생태계 전반이 활성화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사례”라고 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