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지난 12일 경주 지역 지진으로 학교 및 소속기관 235개의 시설물에서 벽체 균열, 천정 마감재 탈락, 조명등 추락 등의 피해(18일 기준)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총 235개의 지진 피해에서 유ㆍ초중등학교가 221개로 가장 많았고, 이외 소속기관 13개, 대학 1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지역으로는 유ㆍ초중등학교 221개교에서 경북지역이 96곳으로 가장 많았고, 이외 △울산 73곳 △경남 49곳 △부산 1곳 △대구 1곳 △전남 1곳으로 나타났다.
대학은 1개교로 금오공대(경상북도 구미시)가 피해를 입었고, 이외 소속기관은 △경북5 곳 △경남 3곳 △울산 3곳 △대구 2곳 등 총 13곳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교육부는 이번 지진 발생 이후 학생 안전 및 추가 피해 예방을 위해 27개교에서 등ㆍ하교 시간 조정을 10개교에서 임시 휴업 조치를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또 9월 말까지 피해 시설에 대한 복구 계획 수립 후, 내진보강을 포함한 피해복구에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금을 지원할 계획이며, 재해 발생 시 복구에만 사용 가능한 재해대책수요 특별교부금을 재해 발생 이전에 예방 사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방교육 재정교부금법을 개정한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가 내놓은 학교시설 내진설계 현황을 보면 전국 전국 초중고등학교 6만1670개교 중 내진 적용 대상 건물은 3만1797개교로 나타났으나, 내진 적용 비율은 23.8%에 불과했다.
특히 지진이 발생한 경북 지역의 경우 내진 적용 비율은 18.0%로 제주 14.0%에 이어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