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美 연준 내년 2차례 정도 금리인상 가능할 것”
추가 금리 인상과 관련해 금융시장관계자들은 내년 6월 이후에나 시작할 것으로 전망했다. 파이낸셜타임즈(FT)가 31명의 시장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설문자들은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경제정책 효과가 가시화되기까지 연준은 신중한 자세를 견지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기존 예상과 달리 금리 인상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Oxford Economics의 Gregory Daco는 “세계경제는 내년에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기존 장기 추세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할 것이다”며 트럼프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세계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평가했다. 아울러 2017년과 2018년 경제성장률을 2.2%, 2.3%로 내다보면서 추가로 0.2%p, 0.4%p 정도의 경제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했다.
반면 유럽은행(ECB) 드라기 총재는 미국 금리 상승에 따라 재정위기가 재연 될 것이라 우려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ECB 드라기 총재는 “세계적인 금리상승으로 재정건전성이 취약한 국가들의 부채비용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면서 대중영합주의 확대와 함께 정치권 불안 등 향후 경기회복에 불안요인이 많다고 지적했다. 경제전반에 대해서는 “확장적 통화정책으로 소비와 투자가 회복돼 연초 대비 개선되었다”고 평가하며 저금리 및 현 재정정책을 강조했다.
◎유럽연합 정상 “영국, EU 단일시장 수혜 누리려면 인력, 상품, 서비스, 자본 원칙에 따라라”
EU 정상들이 브렉시트 이후 영국이 유럽연합 단일시장의 수혜를 받기위해서는 유럽연합의 방침에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닛케이에 따르면 EU는 영국을 제외한 27개국 비공식 정상회의에서 “영국이 EU 이탈 이후에도 단일시장의 수혜를 받으려면 인력, 상품, 서비스, 자본 등 4가지 이동 자유의 수용이 필요하다”는 원칙에 합의한 것으로 확인됐다. EU 투스크 의장은 “영국이 수혜를 받기위해서는 4가지 자유는 불가피하다”고 알렸다.
특히 정상회의에서는 역내 국방협력 강화, 성장과 투자계획의 연장 확대 및 난민 유입억제를 위한 아프리카와의 협력 등을 논의했다. 하지만 브렉시트와 대규모 난민위기 등 역내 반 EU 현상이 대두화되는 것과 함께 그리스 부채 등 경제현안으로 분열 조짐이 가시화 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아울러 EU 정상의 개혁 전개가 둔화된 이유에 프랑스, 네덜란드에서의 극우정당들의 부상, 장기간 저성장과 함께 높은 청년실업률에 따른 반 EU 등을 배경으로 꼽았다. 한편 이에 대해 드라기 총재가 노동시자의 개혁을 강조하고 있으나 진행 여부는 불투명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