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문화


BBK 김경준 "이명박은 단죄됐으나 검찰 역사의 재판애에 세워야"

"정치검찰 역사적 단죄 없다면, 국민 인권보장 요원할 것"

 

지난 2007년 17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 대선 후보였던 이명박 전 대통령이 BBK의 실소유주라고 주장했던 BBK의 설립자 김경준씨가 31일 "이 전 대통령은 단죄됐으나 검찰의 진정한 변화를 위해 역사의 법정이 열려야 한다"고 했다.

 

김씨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이 전 대통령에 대한 확정판결에 즈음한 BBK 사건 김경준의 입장문'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씨는 입장문에서 "검찰에서 주가 조작 혐의 등에 관해 조사를 받을 당시 BBK 및 다스 실소유자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사실에 관해 검찰에 수차례 주장하고 그에 관한 증거자료를 제출했으나 완전히 묵살됐다"라며 "당시 검찰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 관한 진술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했다.

 

또 "그 매각대금이 다스 유상증자에 사용된 도곡동 땅이 누구의 것인지와 더불어 제가 이명박이 열어준 길을 따라 걸어갔던 BBK사건과 관련된 제 경험, 그리고 제가 제출하는 자료만 갖고도 검찰은 다스의 주인이 누구인지와 BBK사건이 핵심 주동자가 누구인지를 충분히 알 수 있음에도 당시 검찰은 외면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김씨는 당시 수사검사 김기동 전 부산지방검사장과 정호용 특별검사 등 당시 검찰에 대해 "반드시 역사의 재판대에 올려져야 한다"고 했다.

 

김씨는 "권력을 위하여 저에 대한 이 모든 기본권 침해를 기획하였던 정치검찰에 대한 역사적 단죄가 없다면, 저의 고초가 보람도 없이 검찰권력의 독립성과 국민의 인권보장은 요원할 것"이라며 "십수 년 전 제가 한국에 돌아가면 당연히 검찰이 진실을 파헤치고 각자의 죗값에 맞게 벌을 주리라 여기고 왔음에도 부패한 권력을 살리기 위하여 한 개인의 인격을 완전히 파멸시킨 대한민국 검찰이 대한민국에서 역사의 법정에 선다면 어떠한 불이익을 감수하고 증언대에 서겠다"라고 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진정한 검찰의 개혁을 위해 검찰의 인권침해와 권력 지향을 밝힐 역사의 법정과 저와 같은 정치 검찰의 피해자들이 조국을 위해 올라설 수 있는 증언대를 만들어 정의를 바로 세워 주시기 바란다"라고 했다.

 

BBK 사건은 김경준씨가 자신의 투자자문회사인 BBK 자금으로 인수한 코스닥 상장기업 옵셔널벤처스의 주가를 조작한 것으로, 2007년 대선 때 이 전 대통령이 연루의혹이 제기됐다.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 전 대통령이고, 다스가 BBK에 거액을 투자했다는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하지만 당시 BBK 사건을 수사한 검찰과 특검은 이 전 대통령은 주가 조작과 관련이 없고 BBK나 다스의 실소유주가 아니라는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신 김씨만 주가 조작을 통한 횡령과 이 전 대통령에 대한 허위사실 공표 등 혐의로 2009년 대법원에서 징역 8년과 벌금 100억원이 확정됐다. 김씨는 2017년 3월 만기 출소한 뒤 강제퇴거 명령을 받아 미국으로 강제송환 됐다.

 

대법원 2부(주심 박상옥 대법관)는 지난 29일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뇌물 등 혐의로 기소된 이 전 대통령의 상고심에서 징역 17년과 벌금 130억원, 추징금 57억8천여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이 전 대통령은 자동차 부품회사인 다스의 회삿돈 약 349억원을 횡령하고 삼성전자가 다스의 미국 소송비 119억여원을 포함해 163억원가량 뇌물을 챙긴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아왔다.

 

다음은 김경준씨의 입장문 전문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확정판결에 즈음한 BBK 사건 김경준의 입장문

 

-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단죄되었으나, 검찰의 진정한 변화를 위하여는 역사의 법정이 열려야 합니다.

 

전 이명박 전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로 밝혀지면서 자연히 다스가 투자하고 이명박이 인허가와 실제 경영을 담당한 BBK의 주가조작과 횡령이 온전히 저희 책임이 아님이 밝혀지게 된, BBK의 핵심 관계자이며 이 사건으로 이미 국내에서 징역 형기를 모두 마친 김경준입니다.

 

저는 십 수년 전 BBK와 이명박 전 대통령의 관계를 폭로하기 위해 국내로 입국했다가 당시 검찰에 의해 본인의 진술이 묵살 되었고, 본인의 입국의도를 조작한 일명 'BBK 가짜편지' 사건과 당시 노무현정권의 사주에 의한 기획입국이었다는 누명으로, 거짓말쟁이로 몰려 혼자 모든 죄를 뒤집어쓰고, 수감자로써의 기본권조차 보장받지 못한 체, 십년 가까이를 복역하였습니다.

 

이후 2017년 3월28일 교도소 수감을 마치고 출소하던 당일 당시 박근혜 전 정부의 황교안 국무총리 대행 체제 하에서 강제퇴거 명령을 받고 출소와 동시에 미국으로 강제송환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국내 입국허가를 요청한 바 있고, 입국이 된다면 수사기관에 당시 검찰의 행태와 이명박의 BBK 사건에 대한 관여를 진술 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한 바 있습니다.

 

뇌물과 각종 비리 사건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이 대법원 확정판결까지 이루어진 현 시점까지 “그때는 틀리고, 현재는 맞다고 한” 검찰의 진정어린 반성과 정치검찰들의 왜곡된 행태에 대한 진실규명이 없습니다. 무엇보다 당시 BBK사건에 있어서 이명박 전 대통령은 거론해서는 안 될 사람으로 만든 검찰의 부끄러운 모습에 관하여 생생한 증언을 할 수 있는 본인은 정작 전 정부 시절에 내려진 입국 불허 조치로 국내로 입국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것입니다.

 

검찰에서 주가혐의 등에 관해 조사를 받을 당시 BBK 및 다스 실소유자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사실에 관해 검찰에 수차례 주장하고 그에 관한 증거자료를 제출했으나 완전히 묵살됐고, 당시 검찰은 이명박 전 대통령에 관한 진술 자체를 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그 매각대금이 다스 유상증자에 사용된 도곡동 땅이 누구의 것인지와 더불어 제가 이명박이 열어준 길을 따라 걸어갔던 BBK사건과 관련된 제 경험, 그리고 제가 제출하는 자료만 갖고도 검찰은 다스의 주인이 누구인지와 BBK사건이 핵심 주동자가 누구인지를 충분히 알 수 있음에도 당시 검찰은 외면하였습니다.

 

이명박에게 면죄부를 주어 국민의 눈을 가리웠던 당시 수사검사 김기동 전 부산지방검사장과 정호용 특검 등 당시 검찰은 반드시 역사의 재판대에 올려져야 합니다.

 

저를 지금까지 거짓말쟁이라고 모욕을 하였던 언론, 그리고 저와의 접견 내용을 공개하여 정치와 검찰에 이용당하게 한 변호사, 저의 접견내용을 녹음하여 검찰에 넘긴 교정당국 등에 대하여는 서운한 마음이나 이에 대하여 더 이상 다투고자 하는 기력은 없습니다.

 

그러나 권력을 위하여 저에 대한 이 모든 기본권 침해를 기획하였던 정치검찰에 대한 역사적 단죄가 없다면, 저의 고초가 보람도 없이 검찰권력의 독립성과 국민의 인권보장은 요원할 것입니다.

 

저는 대한민국에 대한 어떠한 기대나 원망도 사그라진 상태로 단지 조국으로 여기고 마음 한켠에 묻고 있을 뿐이나, 십 수년 전 제가 한국에 돌아가면 당연히 검찰이 진실을 파헤치고 각자의 죄값에 맞게 벌을 주리라 여기고 왔음에도 부패한 권력을 살리기 위하여 한 개인의 인격을 완전히 파멸시킨 대한민국 검찰이 대한민국에서 역사의 법정에 선다면 어떠한 불이익을 감수하고 증언대에 서겠습니다.

 

대한민국은 진정한 검찰의 개혁을 위해 검찰의 인권침해와 권력지향을 밝힐 역사의 법정과 저와 같은 정치 검찰의 피해자들이 조국을 위해 올라설 수 있는 증언대를 만들어 정의를 바로세워 주시기 바랍니다.

 

2020년 10월 31일

미, LA에서 김경준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