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05 (일)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기본분류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국회도서관 / 금주의 서평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저자 야마모토 다카미쓰, 번역 지비원, 출판 메멘토, 발행 2023.02.27.)

 

 

목차 :

 

제1장 「백학연환」이라는 문서

제2장 백학연환은 무엇인가

제3장 ‘학(學)’이란 무엇인가

제4장 ‘술(術)’이란 무엇인가

제5장 학과 술

제6장 관찰과 실천

제7장 지행(知行)

제8장 학술

제9장 문학

제10장 학술의 도구와 수법

제11장 논리와 진리

제12장 진리를 깨닫는 길

제13장 지(知)를 둘러싼 함정

제14장 체계와 방법

제15장 학술의 분류와 사슬

 

책 정보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学),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学), 치지학(致知学), 통고학(通古学), 계지학(計誌学)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ilosophy(철학), Aesthetics(미학), Physics(물리학), Logic(논리학), Archaeology(고고학), Statistics(통계학)에 대응하는 19세기 번역어로, 서양 학술 체계와 용어를 일본에 도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계몽사상가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만든 용어다. 니시 아마네는 현대 일본과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술, 과학, 기술, 예술, 연역, 귀납, 심리’ 같은 단어를 창안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야마모토 다카미쓰(山本貴光)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백학연환은 엔사이클로피디아(Encyclopedia)의 번역어로 온갖 학술(百學)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連環)을 뜻한다. 현재 Encyclopedia라고 하면 ‘백과사전’이나 ‘백과전서’를 떠올리지만 이 말의 어원인 그리스어 ‘엔큐클리오스 파이데이아(Ενκυκλιος παιδεια)’는 ‘기본적인 교육과정’, 오늘날의 ‘일반교양’을 말한다.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 강의는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으므로 니시 아마네의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책으로 ‘일본의 번역과 근대’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의 꼼꼼한 읽기와 현장감 넘치는 서술 덕분에 특정 학술용어나 학문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 교보문고)

 

 

서평

근대 일본의 학(學)과 지(知)를 ‘번역’한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을 읽다

-서평자 : 손지연(경희대학교 일본어학과 교수)

 

“학(学)이란 원어대로 만물을 분명히 알고, 그 근원에 따라 그것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다. 술(術)이란 생겨남을 아는 것이라는 원어처럼, 만물이 성립하는 근원을 알고, 그 성립하는 이유를 분명히 아는 것이다. (『백학연환』문단6 문단7 문장1)” - 159쪽

 

우리에게 낯설지 않은 철학, 미학, 물리학, 논리학 등의 용어는 언제부터 사용되었고, 그 기원은 언제일까? Philosophy, Aesthetics, Physics, Logic이라는 영어의 번역어라는 것쯤은 인지하고 있겠지만, 그 기원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무감각할 것이다.

 

메이지 유신과 함께 시작된 일본의 근대는 그야말로 ‘번역’의 시대였다. 그것은 근대과학에 기댄 어마어마한 물질문명의 힘이 기왕의 전통문화와 강하게 부딪히면서 생겨난 ‘흔적’이기도 하다. 외래에서 건너온 사상을 한자어로 바꾸고, 서양문명을 번역하는 일에 누구보다 열정적이었던 이는 에도, 메이지 시대의 계몽사상가이자 서양 철학자인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였다. 그는 후속세대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는데, 그때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이 『백학연환(百學連環)』이라는 제목의 저술로 남겨졌다(정확히는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강의를 들으며 필기한 내용을 묶은 것이다). 제목의 ‘백학’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일컬으며 ‘연환’은 이들 사이의 연관성 혹은 연결고리를 뜻한다. 지금 우리가 ‘백과사전’이라고 번역하는 ‘encyclopedia’를 니시 아마네는 ‘백학연환’이라고 번역한 것이다.

 

이 책은 산세이도 출판사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인 ‘워드와이즈웹(WORD-WISE WEB)’에 총 133회(2011~2013)에 걸쳐 연재한 것을 수정·가필 후 단행본으로 묶은 것이다(원서명은『「백학연환」을 읽다(「百学連環」を読む)』, 三省堂, 2016). 저자 야마모토 다카미쓰(山本貴光, 1971~)는 150여 년 전(1870~1871년경) 어마어마하게 쏟아져 들어온 서양 학술용어를 어떻게 ‘개념화’하고 일본어로 ‘번역’했는지 찬찬히 그리고 집요하게 좇는다.

 

무엇보다 저자의 접근 방식이 흥미롭다. 니시 아마네가 ‘술(術)’을 ‘아트(art)’로 번역하게 된 라틴어의 기원을 『웹스터 영어사전』에서 찾아내고, 그 웹스터 사전 판본까지 찾아 꼬리에 꼬리를 물며 추적해 간다. 이를테면 이런 식이다. “니시 아마네가 인용한 ‘사이언스’와 ‘아트’의 차이를 논하는 라틴어가 섞인 글은 『웹스터 영어사전』에서 인용한 듯하며, 이 사전이 카슬레이크의 저작에서 이를 인용했고, 카슬레이크의 관점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분석론 후서』라는 오래된 선례가 있다―이러한 양상을 살펴봤습니다. 이 또한 거대한 말 전달 게임입니다.”(149쪽)

 

저자는 150년도 더 된 강의록을 굳이 지금 읽으려는 이유를 ‘학술(学術)’ 때문이라고 잘라 말한다. 오늘날 대부분의 대학에서 택하고 있는 공학부, 이학부, 농학부, 의학부, 약학부, 문학부, 법학부, 경제학부, 교육학부 등의 학부 체제와 이를 다시 여러 개의 학과로 나누는 방식은 언제부터 있었을까? 혹은 인문계와 자연계로 나누고 어느 한쪽을 선택하게 하고 다른 한쪽은 적성에 맞지 않는 것으로 치부해 버리게 된 것은 언제부터일까? 이러한 학술 분류는 누가 생각해냈고 언제부터 그런 식으로 구별하게 되었을까? 이 같은 의문투성이의 질문들에서 오늘날 우리 대학이 처한 위기를 감지한다. 분과 학문을 지양하고 뭐가 됐든 융합이 능사라는 요즘 세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위해서는, 우선 그 전사(前史)라고 할 수 있는 『백학연환』을 정독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독립연구자이자 게임 크리에이터라고 소개하고 있는 저자의 조금은 독특한 약력 탓일까? 자칫 무겁고 지루하거나 너무나 학술적이어서 선뜻 다가가기 어려울 법한 내용임에도 독자들은 마치 게임을 하듯, 퀴즈를 풀 듯 저자가 이끄는 대로 페이지를 술술 넘기게 된다. 그렇게 따라가다 보면 어느덧 근대 서양의 지(知), 그것의 원천이 되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지, 그리고 한자어라는 중국의 지 등이 니시 아마네라는 지식인 한 사람의 머릿속에서 결합하여 일본어로 다시 태어나는 신비로운 과정을 함께 하고 있음을 깨닫게 될 것이다.

 

(출처 : 국회도서관 제2023-34호(통권 제643호, 2023.8.30. 발행처 국회도서관/발행인 이명우/편집인 김희정)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덜 익은 녹색 바나나와 잘 익은 바나나, 어느 쪽이 몸에 좋을까?
덜 익은 녹색 바나나가 장내 미생물을 지원하는 섬유질을 가지고 있어 잘 익는 바나나보다 건강에 더 유리하다고 해외 영양 치료사가 밝혔다. 영국의 영양 치료사 제니퍼 월폴은 최근 일간지 데일리 익스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덜 익은 바나나에는 장내 미생물을 지원하는 프리바이오틱스 섬유질이 들어 있다”면서 “이러한 ‘우호적인’ 섬유질은 장내 세균의 먹이 역할을 해 건강한 미생물 군집과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을 촉진한다,”고 말했다. 그는 “장내 미생물이 번성하면 소화, 영향 흡수, 면역 체계가 강화된다.”면서, “덜 익은 바나나에서 발견되는 프리바이오틱스는 이러한 균형을 유지해 복부 팽만감, 변비, 소화 불편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그는 “건강한 장내 미생물은 심장병이나 비만과 같은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덜 익은 바나나를 식단에 포함하면 장기적 건강에 잠재적으로 투자하는 것과 같다”고도 했다. 바나나에는 익은 여부와 상관없이 칼륨이 풍부하다는 그는, “칼륨은 나트륨에 대한 자연적인 균형 역할을 해 혈압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며 “적절한 칼륨 수치는 적절한 근육 기능을 보장해 경련과 피로의 위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