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녀들에 재산을 상속하는 대신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노인들이 4명 중 1명에 달하고, ‘장남에게 많이 상속하겠다’는 응답 비율은 6%대까지 떨어지는 등 재산 상속에 관한 가치관이 뚜렷하게 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16일 발표한 ‘2023년 노인실태조사’ 재산 상속 방식을 보면, ‘모든 자녀에게 골고루 상속’ 51.4%, ‘자신 및 배우자를 위해 사용’ 24.2%, ‘부양을 많이 한 자녀에게 많이 상속’ 8.8%, ‘경제적으로 어려운 자녀에게 많이 상속’ 8.4%, ‘장남에게 많이 상속’ 6.5% 등이었다.
이 중 재산을 상속하기보다는 ‘자신과 배우자를 위해 사용하겠다’는 응답은 2008년 첫 노인실태조사에서는 9.2%에 불과했으나, 2014년 15.2%, 2017년 17.3%, 2020년 17.4%에 이어 이번에 20%를 넘겼다. ‘장남에 더 많은 재산을 주겠다’는 응답은 2008년 첫 조사에서 21.3%에 달하다 2020년 13.3%까지 떨어진 후 지속해서 감소하다 이번에 6.5%까지 떨어졌다.
노인실태 조사는 2008년부터 3년 주기로 65세 이상 노인의 사회·경제적 활동, 생활환경, 가치관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노인 1만78명을 방문·면접 조사했다.
임을기 복지부 노인정책국장은 “재산 상속에 관한 가치관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라며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으로 진입하고 있는데, 이들은 재산을 상속하기보다는 본인이 사용하고 자녀에게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장례 방식 ‘화장 후 납골당’ 38%...'소득·교육수준 높은' 노년층 증가
노인들이 선호하는 장례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 38.0%, ‘화장 후 자연장’ 23.1%,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 19.6% 등이었다. 화장 후 납골당을 택한 비중은 2020년 대비 4.7%포인트(p) 높아졌지만, 매장을 택한 비중은 6.1%로 5.5%p 낮아졌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비중은 26.5%로 2020년 대비 1.6%P 낮아졌으나, 친목 단체에 참가하는 비중은 54.2%로 10.1%P 높아졌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2020년 56.4%에서 지난해 76.6%로 크게 올랐지만, 노인의 67.2%는 여전히 ‘정보화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호소했다.
한편, 노인들이 ‘노인이라고 생각하는 연령’ 기준은 평균 71.6세였다. 2020년 70.5세 대비 1.1세 상승한 수치다. 전체 노인의 79.1%는 노인의 연령 기준을 ‘70세 이상’이라고 답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에는 이전 세대에 비해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신 노년층’이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노인 가구의 연간 소득은 3천469만원, 개인 소득은 2천164만원, 금융자산은 4천912만원, 부동산 자산은 3억1천817만원으로 모든 항목이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올랐다. 2020년 당시 가구 소득은 3천27만원, 개인 소득은 1천558만원, 금융자산은 3천213만원, 부동산 자산은 2억6천183만원 등이었다.
최종 학력에서 고등학교 졸업 비율은 2020년 28.4%에서 31.2%로, 전문대 이상 졸업자는 2020년 5.9%에서 7.0%로 높아지는 등 교육 수준도 향상됐다.
또한 ‘일하는 노인 비중’은 2017년 30.9%, 2020년 36.9%에 이어 지난해 39.0%에 달했다. 종사 직종은 단순 노무 33.0%, 농림어업 숙련노동 20.3%, 서비스 종사자 14.4%, 판매 종사자 12.5% 등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