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구리시장의 서울편입 추진에 유감을 표명하며 경기주택도시공사, GH 구리 이전 절차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21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고 부지사는 “GH 구리이전은 단순히 구리시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침체된 경기북부를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원동력으로 도약시킬 북부개발의 상징”이라며 “경기도는 이러한 공공기관 이전 약속이행 차원에서 GH 구리이전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고영인 부지사는 "그러나 백경현 구리시장은 GH 이전과 서울 편입을 동시에 추진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앞뒤가 맞지 않는 말"이라며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백 시장은 개인의 정치적인 이득을 위해 구리시민을 기만하고 구리 시민간 갈등을 부추기는 행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고 부지사는 “만약 구리시장이 구리시 서울편입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면, GH의 구리시 이전은 백지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고 부지사는 또 “오세훈 서울시장은 작년 총선 정국에서 구리시와 김포시의 서울편입을 주장했지만 얼마 전 토론회에서는 지방분권을 골자로 하는 개헌을 주장했다”며 구리,김포의 서울편입 주장이 지방분권 개헌 취지와 맞다고 생각느냐“고 따져물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지방분권에 역행하고, 갈등을 부추기는 구리,김포 서울편입 추진에 대한 포기선언을 조속히 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은 과도한 집중으로 인해 주민의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다”면서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체제 개편은 지역별 여건에 맞게 이뤄져야 하며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은 분리적 관점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구리시는 구리시민 1만명이 넘는 유치서명을 근거로 `2021년 공모에서 10개 시.군을 물리치고 GH 이전 대상지로 선정됐다.
GH가 구리로 이전하면, 연간 약 80억원의 지방소득세 증대효과 뿐 아니라, 655명의 근무직원과 연간 1만5천 방문고객 증대 등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백경현 구리 시장은 2023년 11월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서울 편입을 건의하고 지난해 7월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도 서울 편입 추진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