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과 셀트리온제약이 오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암학회인 ‘AACR(미국암연구학회) 2025’에 나란히 참가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셀트리온은 다중항체 기반 항암 신약 CT-P72의 전임상 연구 결과를 처음으로 구두 발표하며, 셀트리온제약은 독자적인 ADC(항체-약물 접합체) 이중 페이로드 기술을 적용한 연구 성과를 포스터 형식으로 공개한다.
양사 모두 항체 신약 개발 분야에서 주목받는 차세대 기술을 국제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소개하는 첫 자리여서 업계와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셀트리온은 현지시간 기준 27일, 미국 바이오 기업 ABPRO와 공동 개발 중인 CT-P72의 전임상 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CT-P72는 HER2 양성 암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T세포 인게이저(TCE) 형태의 다중항체 치료제로, 암세포와 T세포를 연결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의 ADC 계열 신약들과는 다른 전략으로 개발되고 있어, AACR 무대에서의 첫 발표에 기대가 모이고 있다.
더불어 셀트리온제약은 오는 30일 포스터 발표를 통해 이중 페이로드 기술이 적용된 ADC 플랫폼 ‘CTPH-02’를 공개할 계획이다. 이 기술은 서로 다른 두 가지 작용 기전을 가진 항암 페이로드를 단일 항체에 결합함으로써, 암세포 표적성과 치료 효능을 한층 강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셀트리온은 신약 후보물질 자체에 집중하고, 셀트리온제약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역량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룹 내 시너지 효과가 예상된다.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ADC 분야 9건, 다중항체 분야 4건 등 총 13개의 신약 후보물질에 대해 글로벌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할 계획이다. 항체 바이오시밀러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항체 기반 신약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항체신약 명가'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미 지난달에는 미국 FDA로부터 cMET을 타깃으로 한 ADC 항암신약 CT-P70의 임상 1상 승인을 받고 본격적인 임상 개발에 착수했다. 이어서 CT-P71, CT-P73 등 추가 ADC 후보물질과 함께 이번 AACR 발표 대상인 CT-P72의 IND도 올해 안에 제출할 예정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R&D 경쟁력과 실행력을 바탕으로 유망한 신약 후보물질과 첨단 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며 “차세대 치료제 분야에서 입지를 확대해 글로벌 제약기업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