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4일(현지시간)부터 대부분의 자동차 부품 수입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미국 소비자들도 적지 않은 경제적 부담을 안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CNN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자동차 제조사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의 차량 유지비용에도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자동차 가격 인상뿐 아니라 수리비, 유지관리 비용, 보험료 등 전반적인 비용 상승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조나단 스모크 콕스 오토모티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N에 “부품 관세는 단순히 신차 구매자만이 아니라,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모든 미국인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대부분의 차량이 해외 부품으로 조립되기 때문에, 기존 차량을 수리하거나 정비할 때 필요한 부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미국 정부는 일부 환불 제도를 통해 가격 충격을 완화하겠다는 입장이지만, CNN은 관세로 인해 차량 1대당 평균 4,000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 비용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 자동차 제조사들은 당장은 차량 가격을 인상하지 않겠다는 입장이지만, 장기적으로는 가격 반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GM의 메리 바라 CEO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단기적으로는 가격이 안정될 수 있지만, 올해에만 40억~5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며 부담을 토로했다. 포드는 할인 정책을 7월 4일까지 연장하며 소비자 충격을 늦추고 있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외에도 자동차 보험료 역시 인상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차량 수리 비용이 오르면 보험사들의 손해율이 증가하고, 이는 결국 소비자의 보험료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품 관세 면제를 받기 위해서는 북미자유무역협정(USMCA)의 기준을 충족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대부분의 차량이 그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 캐나다산 부품은 일부 면제되지만, 미국 내 최대 부품 공급국인 멕시코산 부품은 대부분 관세 적용을 받는다.
자동차 산업에 정통한 프랭크 뒤부아 아메리칸대학교 명예교수는 “북미 자동차 제조업은 이미 오랜 기간 동안 국경을 초월한 공급망에 의존해왔다”며, 지금 와서 이를 되돌리는 것은 쉽지 않다고 CNN에 밝혔다.
결국 이번 관세로 인해 가장 큰 부담을 지게 되는 쪽은 자동차를 보유하거나 구입하려는 미국 일반 소비자들이 될 가능성이 크다. 스모크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관세는 단순한 무역 정책이 아니라, 소비자 생활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경제적 충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