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기업 10곳 중 7곳은 계획한 인원 채용 실패

기업들이 직무 중심 채용으로 전환하면서 원하는 인재를 뽑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 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대표 김용환)이 기업 487개사를 대상으로 ‘상반기 채용 계획 및 실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올해 채용을 진행한 응답사(422개사)의 68.7%는 상반기에 계획한 직무의 인원을 채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제조’(77.6%), ‘IT/정보통신’(74.5%), ‘서비스업’(69.9%)이 채용난을 가장 심각하게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대기업(64.3%)과 중소기업(69.4%)이 모두 같이 겪고 있었다.

 

계획대로 채용을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직무에 적합한 지원자가 없어서’(60%, 복수응답)가 가장 컸다. 이어 ‘지원자 모수가 너무 적어서’(45.9%), ‘입사한 직원이 조기 퇴사해서’(29.3%), ‘면접 등 후속 전형에 불참해서’(24.8%), ‘기존 직원의 퇴사가 늘어나 채용 인원이 더 늘어나서’(11.4%), ‘코로나19로 인해 채용 계획이 바뀌어서’(3.1%)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올 상반기 채용한 인원은 계획한 인원의 35% 남짓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상반기과 비교했을 때 ‘지난해보다 더 못 뽑았다’(45.5%)는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비슷한 수준의 채용이다’(44.8%)가 뒤를 이었다. ‘적합한 인재를 다 채용했다’는 기업은 9.7%에 그쳤다.

 

전체 응답 기업의 63.4%는 최근 3년간 ‘구인난이 심각해졌다’고 답했다.

 

채용에 가장 난항을 겪고 있는 직무는 ‘제조/생산’(21%), ‘IT/정보통신(개발자)’(13.9%), ‘영업/영업관리’(12.3%) 순이었다. 이들 기업이 구인난이 지속되는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은 것은 ‘적합한 후보자의 지원 부족’(75.4%)이었다.

 

채용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기업은 90%가까이(89.3%)였다. ‘복리후생, 근무환경 개선’(46.5%, 복수응답), ‘연봉(기본급)인상’(45.6%)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 그 밖에 ‘직원 성장을 위한 지원 확대’(19.9%), ‘자율성 중심의 조직문화 개선’(17.4%), ‘온라인 광고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11.8%) 등이 있었다.

 

한편, 기업들이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부문은 ‘직무적합성’(58.1%)이었다. 계속해서 ‘장기근속 성향’(12.5%), ‘경력’(11.7%), ‘조직문화 융화’(9.4%) 등이 이어졌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대책위 “오송참사, 진상규명·책임자 처벌, 2주기 전 해결해 달라”
중대시민재해 오송 참사 진상규명 책임자처벌 시민대책위원회는 3일 “오송지하차도참사 2주기가 되기 전에 국회는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약속을 지키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오송참사시민대책위원회와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 등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3년 7월 15일, 충북 청주시 오송 궁평2지하차도에서 발생한 침수 참사는 열네 명의 생명을 앗아간 참극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오송참사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2년이 지난 지금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재발방지대책 마련을 외치며 싸우고 있다. 오송참사대책위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기소된 이범석 청주시장은 아직까지 진정한 사과도 없이 여전히 책임을 부정하고 있으며 김영환 지사를 ‘혐의없음’으로 불기소한 결정에 대한 대전고법 항고는 5개월이 되어가는데 아직도 깜깜무소식인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국회가 작년에 국정조사를 약속했지만 아직 국회 본회의의 문턱에 오르지도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오송 참사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닌, 예방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반복된 무관심과 관리 부실, 그리고 책임 회피가 빚어낸 명백한 ‘인재’”라면서 “참사 발생 2년이 지나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