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유모차와 산후조리원 비용이 상식 초월 고가

중산층 보육비, 월 평균 118만 원 지출

육아정책연구소는 10일 `영유아 양육물가 현황과 지수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서울에 살며 만0∼5세 아이를 둔 450 가구를 대상으로 작년말 조사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대상 가정들은 첫째 아이 기준으로 육아에 필요한 상품과 서비스를 구입하는데 평균 월 118만522원, 연 1천416만6천260원을 지출했다.

이런 지출 규모는 조사대상 가정 평균 월 소비지출 총액 207만600원의 61.8%에 해당하는 것이다.

조사 대상 가정의 84.2%는 월평균 가구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 소득 통계 기준 10분위 가운데 3∼8분위에 속하는 이른바 `중산층`이었다.

육아 지출에서 상품과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73.9%(월 93만3천709원), 26.1%(28만4천160원)였다.

자녀 연령별로는 아이의 나이가 많을수록 육아용품 등 상품 비중이 줄어드는 반면 보육·교육 등과 관련된 서비스의 비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선 단일 품목으로 가장 비싼 육아 상품은 돌·성장앨범(평균 89만2천944원)이었고, 이어 침대(51만6천993원)·전용공기청정기(50만4천444원)·유모차(43만5천121원)·아기전용세탁기(37만2천444원)·카시트(35만6천519원)·전용가습기(30만2천37원)·영유아교재(26만1천87원) 등의 순이었다.

서비스 중에서는 보육도우미(45만원)·조부모 등 혈연 보육료(43만7천273원)·돌 및 백일 비용(42만6천188원)·유치원순수교육비(35만8천545원)·외국어학원(26만9천167원)·산후조리원(20만9천91원)·어린이집 순이용료(15만6천347원)·영유아 적금 및 펀드 불입(14만7천171원) 등에 큰 돈이 들어갔다.

올해 전면 무상보육이 실행된다 해도 각 가정의 지출이 불가피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특별활동비 역시 각각 월 평균 10만5천원, 8만3천원 정도로 집계됐다.

상품 구입 방식을 살펴보면 유모차, 침대·카시트, 아기띠, 공기청정기, 영유아 교구의 경우 30%이상의 가정이 물려받거나 중고를 구입한 반면 나머지 돌·성장앨범, 영유아 책, 공기청정기, 옷 등은 70%이상 가정이 새로 샀다고 답했다.

`영유아 자녀 관련 시중제품 중 과도하게 비싼 것`으로는 유모차(63.6%), 옷(23.8%), 장난감(21.1%), 카시트(20.0%), 기저귀(19.8%), 분유(16.7%) 등이 지목됐다.

실제로 구입한 제품 중에서도 유모차(33.8%), 옷(15.6%), 장난감(14.4%), 카시트(11.1%) 등이 비쌌다는 반응이 많았다.
시중 서비스의 경우 산후조리원(16.2%), 유치원(13.6%), 사교육·특기교육(11.6%), 예방접종비(9.6%) 등의 가격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평가됐고, 실제 이용 경험에 비춰서는 산후조리원(7.3%), 예방접종비(6.9%), 키즈카페·실내놀이터(4.9%) 가격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최윤경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육아에 필요한 상품의 종류와 가계지출 중 비중이 서비스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보육 서비스 지원과 양육수당 현금 지원으로 이뤄진 현행 영유아 양육지원 형태를 육아필수 상품 구입 바우처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