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메뉴

기후경제


왜 우리들은 몸에 나쁜 줄 알면서도 그것을 먹는 것일까

뉴욕타임스 서평(書評) 소개(1편)

우리들은 초-가공(超 加工) 식품에 인이 박혀 있는 듯이 보인다. 의사이자 과학자, 저널리스트인 크리스 반 툴렌켄(Chris van Tullenken)이 몸에 안 좋은 줄 알면서도 초-가공 식품에 빠진 현대인의 심리를 저널리스트적 관점에서 파고들었다.  

 


회반죽 가짜 빵을 비난했다가 마을에서 쫓겨난 ‘그램 크래커’의 실베스터 그램 


오늘날, Sylvester Graham(1794~1851)은 자신의 이름이 붙은 크래커로 아주 유명한 사람이다. 전성기 때 Graham은 몸에 좋은 음식에 관한한 영향력 있는 작가였고 강연자였다. ‘mobbed-떼 지어 몰려들다’란 말은 그가 연설할 때 이따금 일어났던 일을 묘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게 분명하다. 결혼의 순결과 가정 요리를 옹호하다가 그는 mobbed란 글자 그대로 떼 지어 몰려든 남편들과 빵집 주인들에 의해 마을에서 쫓겨났다. 


1837년의 한 논문에서 Graham은 대단히 심각한 문제를 경고했다.

 

일반인들이 먹는 빵과 상업적인 빵집이 사용하 는 저급한 밀가루는 농부들이 흙에서 최대한 수익을 짜내 기 위해 의도적으로 생산한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런 밀가 루 빵은 영양성분이 떨어지는데다 제빵 업자들이 이른바 화학첨가제를 넣고, 손으로 잘 부서지는 담채(淡彩)색깔의 석회암, 점토, 그리고 회반죽을 섞어 무게를 늘리고 색 깔을 곱게 했다.

 

가짜 음식은 그렇게 사람들을 병들게 만들고 있었다. 

 

거의 200년 뒤, 크리스 반 툴레켄(Chris van Tulleken)는 ‘Ultra-Processed People-고도가공식품을 먹는 사람들’에 서 유사한 경보를 울리고 있다. 의사, 과학자 그리고 저널 리스트로 전염병 분야에서 일했던 저자는 고도로 가공된 음식은 우리를 병들게 할 뿐만 아니라, 지구를 파괴하고 전통 문화를 뿌리 채 뽑아놓으며 우리의 얼굴을 움츠러들게 한다고 했다.

 

거기에 더해서 아마도 불임의 원인을 제 공하거나 미래의 세균 위협에 맞서야 하는 우리를 무기력 하게 만들기도 할 것이다.  

 

도대체 고도로 가공된 음식이란 무엇인가? 이 말은 10년 전, 브라질의 연구원들이 만든 NOVA라고 하는 식품 분 류 체계에서 나온 말이다. 이 분류체계를 여러 NGO들, 이 분야 활동가들, 관련 연구원들이 채택했다. (전통적인 과 일, 채소, 곡류, 단백질과 유제품 그룹과 대척점(對蹠點)에 있는 식품이라고 생각하자)  


고도가공 식품은 정크식품, 공업용에서 전용(轉用)한 성분의 조합 NOVA에 따르면 ▲제1그룹의 음식은 가공되지 않았거나 최소한으로 가공한 음식물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를테면 생고기, 과일, 밀가루, 그리고 파스타 같은 것이다.  


 ▲제2그룹의 음식은 가공된 요리 재료-기름, 버터, 설탕, 꿀 그리고 전분 등을 말한다.  ▲제3그룹의 음식은 가공된 음식이다. 처음의 두 가지, 즉 제1그룹과 제2그룹의 음식을 보존하기 위해 가공된 이를 테면, 콩 장(醬)류, 소금에 절인 땅콩, 훈제 고기 (그리고 특히 적당히 신선하게 만든 빵)등이 속한다.  


 ▲제4그룹의 음식은 마지막으로 고도로 가공된 음식물이다. ‘대부분 공업용에서 전용(轉用)되어 산업적 과정과 많은 정교한 장비와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여러 성분을 배합한 음식’으로 정의된다.  


 흔히 쓰는 말로 바꾸자면 ‘고도로 가공된 음식’은 우리 부 모님들이 ‘정크푸드’라고 불렀던 것들이다. 포장된 스택, 소다, 설탕이 든 시리얼, 에너지 드링크, 캔디바, 그리고 이 책이 사용하고 있는 과학적 용어 같은 ‘UPF’라는 명칭 속에는 어떤 음식의 성분 속에 들어가 있을, 무섭고도 새로운 어떤 것이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여기서 새로운 것은 음식이 아니라는 것을 잊지 말자. 그건 음식이 아니라 브랜드이고 브랜드를 설명하는 체계이다.


van Tulleken이 설명하듯이, NOVA는 음식물 가공을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든 것인가에  따라 그룹을 나눈다. UPF는 극히 낮은 비용의 성분과 장기간 유통기간을 가진, 주로 최대의 이익을 내고자 가공되는 음식이다.

 

제조업자 들 또한, 기만적인 마케팅 전략을 짜고, 가짜 소송 사건을 일으키고, 비밀스럽게 로비를 하고, 사기(詐欺)치는 연구를 시켜서 그저 돈을 뽑아내는 데에만 혈안이 되어 있다, 고 그는 말하고 있다. 고도 가공 식품의 본질적인 의미를 규정하는 특징은 탐욕 스러운 이익 추구이기 때문에 이 책은 건강상 위해를 가하는 그런 식품에 대한 공격 방향을 회사의 탐욕과 후기 산업 자본주의로 돌리고 있다.  (이어서 2편http://www.m-economynews.com/news/article.html?no=39560#으로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경찰, 소비쿠폰 '불법 현금깡' 특별단속…'부정유통 신고센터' 운명
소비쿠폰의 불법 현금화 시도가 연일 신고되면서 정부가 팔을 걷고 특별단속에 나선다. 소비쿠폰이 지급 11일 만인 지난달 31일 90% 지급률을 보이며 국민에게 호응을 받고 있지만, 불법 현금화 시도와 카드 색상 구분 등 인권 논란은 붉어지고 있다. 정부는 불법 유통에 대한 특별단속에 나서는 등 소비쿠폰이 지역경제와 골목상권 회복이라는 당초 취지에 부합하도록 제도를 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2일 광주시 5개 자치구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첫날인 지난달 2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총 9건(광산구 6건·서구 2건·남구 1건)의 부정 사용 정황이 발견됐다. 연 매출액이 30억원을 넘는 등 소비쿠폰 결제가 불가한 업주들이 다른 업소의 카드단말기를 대여해 대리 결제하거나 매장 안에 입점한 임대 사업자의 카드단말기를 이용하는 편법을 사용하다가 적발된 것이다 소비쿠폰 결제 후 현금 환불을 요구하는 등 불법 현금화 시도도 계속되고 있다. 최근 한 자영업자는 커뮤니티에 글을 올려 “민생지원금으로 주문한 뒤 음식에서 머리카락이 나왔다고 해서 사진을 찍어 보내라 하니 카메라가 고장 났다고 한다”며 “식약처 고발 등을 이야기하길래 계좌로 환불을 해줬다”고 호소했다. 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