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과학·기술·정보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761억...전년 동기대비 55.2%↓

전자공시 통해 잠정실적 발표...매출 74조5663억, 당기순이익 5억1164억
DX 43조 6000억, MX·네트워크 29조 2000억, VD·DA 등 14조1000억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원(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2분기 매출은 74조 5663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74조 683억원과 대비해 0.67% 증가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은 5조 116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8.01%나 급감했다. 전년도 동기 당기순이익은 9조 8413억원이었다.


사업부문별 2분기 매출을 살펴보면, DX부문은 43조 6000억원으로 MX·네트워크 부문에서 29조 2000억원, VD·DA 등에서 14조 1000억원을 기록했다. DS부문에서는 27조 9000억원을 기록했으며, 특히 메모리 부문에서 21조 2000억원의 매출이 있었다. 이밖에도 SDC(Samsung Display Corporation) 부문과 하만(Harman)에서 각각 6조 4000억원, 3조 8000억원의 성과를 냈다.


영업이익 측면을 살펴보면 DX 부문에서는 3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MX·네트워크 부문에서 3조 1000억원, VD·DA 등 부문에서 2000억원을 찍었다. 이어 DS 부문에서는 4000억원, SDC 및 하만 부문에서 각각 5000억원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부문 성과에 대해 HBM3E 판매 및 고용량 DDR5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재개에 따른 서버 SSD 판매 확대 등으로 재고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도 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재고 자산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에는 HBM, 서버향 LPDDR 5x 등을 통해 고용량화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이어 시장을 선도하는 AI 서버향 128GB 이상 DDR5 및 24Gb GDDR7 판매를 지속해서 확대하며, 응용 전반의 8세대 V-NAND 전환 가속화 가운데 고용량/고성능 SSD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S 부문 2기 실적에 대해서는 S.LSI에서 GAA 공정 적용 SoC의 플래그십 모델향 공급 시작 등으로 매출 견조했으나 선단제품 개발 비용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파운드리(Foundry)에서는 큰 폭의 매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첨단 AI칩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반영 및 성숙공정의 라인 가동률 저하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실적이 부진했다고 파악했다.

 


하반기에는 S.LSI 파트에서 2026년향 플래그십 라인업 진입 목표로 엑시노스의 경쟁력 극대화에 집중하고, 센서는 초고화소 및 나노프리즘 기술 적용 신제품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파운드리에서는 GAA 2 나노 공정 적용 모바일 신제품 양산 본격화하며, 주요 거래선 판매 확대로 가동률 향상 및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SDC 부문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중소형 파트에서 주요 고객 스마트폰 신제품에 대응하고, IT/Auto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대형 파트에서는 QD OLED 프리미엄 모니터 신제품의 게이밍 시장 중심 판매 확대를 지속해 나간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중소형 파트에서 주요 고객 스마트폰의 신제품 출시 예정으로 판매 확대가 기대되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는 차별화 기술로 시장 리더십 강화 및 스마트폰 외 제품 판매 확대를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대형 파트에서는 TV 패널의 안정적 공급과 모니터 라인업 보강해 QD OLED 확대를 가속할 계획이다.


VA/DA/Harman 부문의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먼저 VD 파트에서는 프리미엄 중심 판매 믹스 개선에도 불구하고 경쟁 심화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 DA 파트에서는 에어컨 성수기 진입에 따른 고부가 가전 판매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하만 파트에서는 오디오 판매 호조 및 전장 사업 원가 효율화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하반기 전망으로 VD 파트에서는 AI 기능 등 시청 경험 향상된 라인업 기반의 성수기 수요에 조기 대응을 통한 매출 성장을 추진하고, DA 파트에서는 AI 혁신 제품 판매 확대 및 HVAC 등 고부가 사업 중심 사업구조 개선에 주력 및 공급지 최적화 등 통한 관세 영향 최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만에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성수기에 맞춰 오디오 확대판매 및 전장 매출 확대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환경단체 “정의로운 산업폐기물 처리 위한 폐기물관리법 발의” 지지
전국 곳곳에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들이 산업폐기물 매립, 산업·의료폐기물 소각, 유해재활용 시설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히고 환경 오염 우려를 키우고 있다. 이에 발맞춰 송재봉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폐기물관리법 및 폐촉법(폐기물처리시설 설치 촉진 및 주변지역 지원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에 산업폐기물 현안지역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공익법률센터 농본은 31일 국회 소통관에서 지속가능하고 정의로운 산업폐기물처리를 위한 법안 발의 지지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윤만 추구하는 업체들이 부적절한 입지에 온갖 위법, 편법을 동원해 사업을 추진하는가 하면, 매립·소각·유해재활용 과정에서 불법과 사고, 부실관리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며 “매립이 끝난 산업페기물매립장을 사후관리하지 않고 ‘먹튀’하는 행태까지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로 인해 주민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고, 미래에까지 물려줘야 할 흙과 공기·물이 오염되고 있다”며 “돈은 영리기업이 벌고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입고 사후관리나 피해대책 수립은 국민세금으로 해야 하는 기막힌 현실이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또 “이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