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4조 6761억원(연결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5.23%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했다.
공시에 따르면 2분기 매출은 74조 5663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74조 683억원과 대비해 0.67% 증가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은 5조 1164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8.01%나 급감했다. 전년도 동기 당기순이익은 9조 8413억원이었다.
사업부문별 2분기 매출을 살펴보면, DX부문은 43조 6000억원으로 MX·네트워크 부문에서 29조 2000억원, VD·DA 등에서 14조 1000억원을 기록했다. DS부문에서는 27조 9000억원을 기록했으며, 특히 메모리 부문에서 21조 2000억원의 매출이 있었다. 이밖에도 SDC(Samsung Display Corporation) 부문과 하만(Harman)에서 각각 6조 4000억원, 3조 8000억원의 성과를 냈다.
영업이익 측면을 살펴보면 DX 부문에서는 3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세부적으로 MX·네트워크 부문에서 3조 1000억원, VD·DA 등 부문에서 2000억원을 찍었다. 이어 DS 부문에서는 4000억원, SDC 및 하만 부문에서 각각 5000억원을 달성했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부문 성과에 대해 HBM3E 판매 및 고용량 DDR5 제품 비중 확대를 통해 서버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했다고 밝혔다. 또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재개에 따른 서버 SSD 판매 확대 등으로 재고가 큰 폭으로 감소한 것도 실적을 이끈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재고 자산평가 충당금 등 일회성 비용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에는 HBM, 서버향 LPDDR 5x 등을 통해 고용량화 추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이어 시장을 선도하는 AI 서버향 128GB 이상 DDR5 및 24Gb GDDR7 판매를 지속해서 확대하며, 응용 전반의 8세대 V-NAND 전환 가속화 가운데 고용량/고성능 SSD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DS 부문 2기 실적에 대해서는 S.LSI에서 GAA 공정 적용 SoC의 플래그십 모델향 공급 시작 등으로 매출 견조했으나 선단제품 개발 비용 상승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이었다고 분석했다. 파운드리(Foundry)에서는 큰 폭의 매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첨단 AI칩 대중 제재 영향에 따른 재고 충당 반영 및 성숙공정의 라인 가동률 저하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실적이 부진했다고 파악했다.

하반기에는 S.LSI 파트에서 2026년향 플래그십 라인업 진입 목표로 엑시노스의 경쟁력 극대화에 집중하고, 센서는 초고화소 및 나노프리즘 기술 적용 신제품 판매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파운드리에서는 GAA 2 나노 공정 적용 모바일 신제품 양산 본격화하며, 주요 거래선 판매 확대로 가동률 향상 및 수익성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SDC 부문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중소형 파트에서 주요 고객 스마트폰 신제품에 대응하고, IT/Auto 판매 확대로 전분기 대비 매출이 개선됐다. 대형 파트에서는 QD OLED 프리미엄 모니터 신제품의 게이밍 시장 중심 판매 확대를 지속해 나간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중소형 파트에서 주요 고객 스마트폰의 신제품 출시 예정으로 판매 확대가 기대되지만 시장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해 회사는 차별화 기술로 시장 리더십 강화 및 스마트폰 외 제품 판매 확대를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대형 파트에서는 TV 패널의 안정적 공급과 모니터 라인업 보강해 QD OLED 확대를 가속할 계획이다.
VA/DA/Harman 부문의 2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먼저 VD 파트에서는 프리미엄 중심 판매 믹스 개선에도 불구하고 경쟁 심화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 DA 파트에서는 에어컨 성수기 진입에 따른 고부가 가전 판매 확대로 수익성이 개선되고, 하만 파트에서는 오디오 판매 호조 및 전장 사업 원가 효율화로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하반기 전망으로 VD 파트에서는 AI 기능 등 시청 경험 향상된 라인업 기반의 성수기 수요에 조기 대응을 통한 매출 성장을 추진하고, DA 파트에서는 AI 혁신 제품 판매 확대 및 HVAC 등 고부가 사업 중심 사업구조 개선에 주력 및 공급지 최적화 등 통한 관세 영향 최소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만에서는 관세 불확실성이 상존하지만, 성수기에 맞춰 오디오 확대판매 및 전장 매출 확대로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