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 중 ‘만 100세 이상 고령자 집계 결과’ 5년 새 72%가 증가했다.
통계청이 발표한 ‘만 100세 이상 고령자 집계 결과’를 보면 100세 이상 고령자는 3천159명으로 2010년 1천835명에 비해 1천324명(72.2%)이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2천731명으로 86.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세 이상 고령자가 가족과 함께 사는 비율은 44.6%로 2010년 57.1%에 비해 12.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 요양원,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비율은 43.1%로 2014년 19.2%에 비해 23.9%p 증가했다.
고령자의 인지 상태 부분에서는 본인의 이름을 정확히 알고 있는 100세 이상 고령자는 68.2%이고, 본인의 나이를 정확히 알고 있는 고령자는 42.6%였다. 이외 돈 계산 등이 가능한 고령자는 28.0%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 100세 이상 고령자의 건강관리 방법은 식사 조절, 규칙적인 생활, 운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유지를 위해 관리를 하는 100세 이상 고령자는 60.8%로 나타났으며, 좋아하는 식품군은 채소류, 육류, 콩제품류 순으로 나타났다.
또 고령자의 76.7%가 평생 금주를 79.0%가 평생 금연을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V 시청 또는 라디오 청취, 친구 등 다른 사람과 사교, 노인정이나 마을회관에 다니며 활동적인 생활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의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는 속도가 빠르게 늘고 있지만 OECD 합계출산율에 따르면 한국은 34개 국가 중 최하위인 1.26명으로 나타났다. 합계출산율이란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뜻한다. 합계출산율이 가장 높은 국가는 이스라엘(3.05명), 멕시코(2.29명), 터키(2.10명), 뉴질랜드(2.05명), 아일랜드(2.01명) 순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현재 ‘연애, 결혼, 출산’ 세 가지를 포기하는 ‘삼포세대’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출산을 기피하고 있으며, 급격한 고령화와 저출산이 지속되면 경제활동인구가 감소하면서 생산량이 줄어들고 경제성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저출산 대책으로는 △젊은 층의 자립 지원 및 결혼 촉진 △주택난 해소 △여성의 사회진출로 인한 출산 기피 해소 △육아 부담 해소 등이 있으며, 정부는 대통령 직속기관인 저출산ㆍ고령사회위원회를 통해 ‘저출산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저출산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