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4월 2일로 예정된 상호관세에, 자동차 25% 관세 등 품목별 관세까지 발표된 상황에서 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1일 발표한 ‘우리 제조기업의 美 관세 영향 조사’에 따르면, 국내 2,107개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發 관세 정책의 직·간접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로 가장 많았고,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0%였다.

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원자재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기업(17.9%) ▲미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4.2%) ▲중국에 부품·원자재 수출기업(13.8%) 등의 순이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美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업종을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들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4월 2일 관세 발표가 예고된 가운데,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집계됐다.

미국은 업종별 관세를 속속 발표하고 있다. 지난 달 12일에는 철강 및 알루미늄에 25% 관세가 시행되었고, 같은 달 26일에는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를 발표했다.
자동차의 경우 작년 전체 수출 중 미국의 비중이 46%를 차지했고, 여기에 멕시코 등 타국 생산공장에서 수출하는 물량까지 감안하면 약 70~90만대의 물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예측도 있다.
철강의 경우 수출물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9~10%로 자동차에 비해선 낮지만, 미국의 시장가격이 높아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좋은 시장으로 꼽혀온 만큼 관세정책이 장기화 될 시 우리기업에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기업들은 美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 다음으로는 미국으로 직접 수출하는 기업들이 우려하는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시장 내 가격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다.
미국 관세의 영향이 현실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부장 협력사와 같은 중소기업들의 대응계획이 부족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계획이 없다’(24.2%)고 답했고, ‘생산코스트 절감’이나 ‘관세회피 대응책’을 마련 중인 기업은 대기업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우리 제조기업들은 대미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저가공세 등의 간접영향까지 더해져 경영상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며 “민간 네트워크와 외교 채널을 통해 관세 영향 최소화에 힘쓰고 피해 업종에 대한 지원책을 세우는 한편, 장기적으로 관세와 같은 대외리스크를 이겨낼 경쟁력을 기르기 위해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