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15.5℃
  • 맑음강릉 19.4℃
  • 박무서울 15.7℃
  • 맑음대전 22.4℃
  • 맑음대구 22.6℃
  • 맑음울산 23.4℃
  • 맑음광주 22.9℃
  • 맑음부산 20.4℃
  • 맑음고창 21.1℃
  • 맑음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3.6℃
  • 맑음보은 21.7℃
  • 맑음금산 23.4℃
  • 맑음강진군 20.3℃
  • 맑음경주시 25.0℃
  • 맑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금융


수협 여직원 횡령금 오리무중... 10년간 미회수금 잔액 150억대

2012년부터 최근까지 약 90건의 '비위 행위' 적발
내부통제 시스템 개선 시급...은행 순손실로 이어져

 

전남 고흥군의 한 수협 금고 직원이 훔친 10억 원 중 11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돈의 행방이 오리무중이다.

 

전남 고흥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3일 상습절도 및 장물취득·범인은닉 혐의로 고흥수협 여직원 A씨(36)와 공범 B씨(36)를 구속 송치했다. A씨는 지난달 초부터 전남 고흥군의 한 수협 금고에서 4차례에 걸쳐 10억 3000만원을 훔쳐 달아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은 이들의 통장 명세와 일부 동선 등을 파악했으나 추가로 돈을 회수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범행 마지막날인 지난달 25일 밤 A씨의 자택에서 1100만원을 회수한 뒤 추가적인 돈의 사용처가 묘연한 상황이다.

 

중앙수협 관계자는 이번 사건이 고흥수협의 내부 문제라며 선을 그었다. 고흥수협 측은 "현재 경찰 조사가 진행 중이므로 결과가 나와야 피해 규모와 책임자 문책 등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횡령된 10억 원은 고객의 돈이 아닌 수협의 예탁금이므로 직접적인 피해는 조합이 진다며, 보험금 1억원과 직원들이 나누어 9억원을 변제할 수 있다는 언급을 했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금융기관의 내부 통제 시스템이 얼마나 허술한지를 보여주는 또 다른 사례다. 수협 조합 직원들의 비위행위로 인한 손실이 처음이 아닌 만큼 수협 내부통제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된다. 

지금까지 수협 단위조합 직원들이 지난 2012년부터 최근까지 약 90건의 비위행위를 저지른 것으로 파악됐다. 피해금액은 총 301억원이며, 이 중 미회수 금액이 절반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 67개 조합 중 절반 이상이 적자를 기록하는 등 수협은 지난해 2,725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한 만큼 이같은 미수금액이 뼈아플 수밖에 없다. 

한편, 2023년 1월 제주의 한 수협 예산관리부서 30대 직원은 2020년부터 3년간 70여 차례에 걸쳐 회삿돈 9억원을 횡령했다. 이 직원은 세금이 들어간 보조금 사업에서도 공금을 유용해 도박이나 유흥비로 탕진했다. 당시 수협중앙회는 당시 감사를 진행했음에도 해당 직원의 비리 사실을 깨닫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불거진 바 있다.

 

금융기관에서의 횡령 사건은 단순한 개인의 일탈로 치부할 수 없다. 수협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내부 감시 시스템을 재정비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금융당국은 이러한 사건이 반복되지 않도록 금융기관의 내부 통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과 개선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