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2분기 은행권 가계 대출과 중소기업 대출 문턱이 1분기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2분기 은행의 대출태도 종합지수(-6)는 전 분기(7)보다 13포인트(p) 떨어졌다. 한 분기 사이 대출 태도가 완화 우위에서 강화 우위로 돌아섰다.
한은은 이 조사에서 금융기관 대출태도, 대출수요, 신용위험에 대한 평가(크게 완화·증가-다소 완화·증가-변화 없음-다소 강화·감소-크게 강화·감소)를 가중 평균해 100과 -100 사이 지수로 산출했다. 지수가 양(+)이면 "완화(대출태도)" 또는 "증가(신용위험·대출수요)"라고 답한 금융기관 수가 "강화" 또는 "감소"보다 많은 상태고, 음(-)이면 반대다.
대출 주체별로 보면, 가계 일반대출(신용대출 등)과 주택대출(-8·-6)에서 1분기(8·14)와 비교해 뚜렷하게 태도 강화 전망이 늘었다. 중소기업 대출태도 지수 역시 -6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대기업(6)은 완화 우위 상태를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대출의 경우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른 금융권 자율 관리 등으로 대출태도가 다소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소기업 대출태도도 대내외 경제 여건 불확실성 등에 따른 여신 건전성 관리 등에 따라 취약 업종을 중심으로 다소 강화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가계 주택대출과 일반대출에서는 지수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기업의 경우 대기업(6→11), 중소기업(19→25)에서 모두 대출 수요 확대 전망이 더 늘었다.
가계의 대출 수요는 1분기 중 늘어난 주택 거래, 신용대출 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기업 대출 수요도 대내외 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운전자금 수요 등 때문에 불어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국내 은행이 예상한 2분기 신용위험 종합지수는 20으로, 전 분기(15)보다 5p 높아졌다. 특히 대기업(6→8), 가계(8→17)에서 신용위험이 커질 것이라는 관측이 증가했다. 중소기업(22)의 경우 지수에는 변화가 없지만 신용위험 확대 전망이 여전히 뚜렷하게 더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