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조선시대 땅찾기, 온라인으로 쉽게 찾는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지적원도는 조선총독부가 토지조사사업(1910~18)을 벌이며 전국 토지를 측량해 토지의 위치와 경계를 작성한 세부 측량원도다. 지번과 소유자명 등이 기재돼 있어 일제강점기 당시 소유권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 토지 관련 주요 기록물을 온라인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정부3.0의 일환으로 일제강점기에 생산한 토지 관련 공개기록물의 원문이미지를 1218일부터 홈페이지(www.archives.go.kr)를 통해 공개했다. 지금까지는 보유기관인 국가기록원을 직접 방문하거나 신청 후 며칠 뒤에나 발급받아 확인해야 하는 등 이용이 불편했다.

 

이번에 온라인에 공개되는 국가기록원 소장 기록물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만든 토지 도면인 지적원도를 비롯해 토지조사부’, ‘임야조사부’, ‘토지대장등과 같은 일반문서 중 열람 빈도가 높은 기록물 총 17208만건이다.

 

이 시기에 생산한 토지 관련 기록물에는 당시 토지의 위치나 경계, 토지 소유권자, 소유권자의 변동, 납세내용 등이 담겨 있다. 이런 이유로 조상의 땅을 찾는 등 개인의 재산권 확인이나 증빙을 위해 기록물을 찾는 이용자가 많았지만, 이전에는 국가기록원을 방문해 열람을 신청하는 사람만 해당 기록물을 받아볼 수 있었다.

이제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토지 관련 기록물의 원문이미지를 바로 검색해 열람할 수 있어 이전에 들였던 노력과 시간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2007년부터 시작해 2013년까지 약 360만건(전체 소장량의 4퍼센트)의 기록물 원문이미지를 서비스해 온 국가기록원은 이번에 208만건을 추가한 데 이어 2017년까지 강원·경상·전라·충청권 지적원도, 국제교류·경제개발·연구보고·업무계획 관련 주요 일반문서, 주요 시청각기록물 등 총 1,840만건(전체 소장량의 20퍼센트)을 차례로 서비스할 계획이다.

국가기록원은 이번 서비스는 공공정보의 개방과 공유를 핵심가치로 하는 정부3.0의 일환으로 추진됐다앞으로도 국민의 관심과 이용도가 높은 기록물을 적극 공개 서비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