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7.2℃
  • 구름조금강릉 15.6℃
  • 맑음서울 18.5℃
  • 구름조금대전 18.0℃
  • 맑음대구 18.8℃
  • 구름많음울산 17.8℃
  • 맑음광주 19.8℃
  • 구름조금부산 20.7℃
  • 구름조금고창 19.9℃
  • 맑음제주 21.0℃
  • 맑음강화 16.6℃
  • 맑음보은 17.4℃
  • 맑음금산 17.9℃
  • 구름조금강진군 20.9℃
  • 맑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9.4℃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5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사례 "운영비·사업비 58%로 가장 많아"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분야는 복지였고 가장 많이 쓰이는 수법은 사업실적 허위 작성이었

국민권익위원회(이하 국민권익위)가 지난 28일 밝힌 정부 보조금 부정수급 및 사학 비리 집중 신고기간운영결과를 보면 보건복지, 산업자원 등 상위 5개 분야 신고 건수가 전체 신고의 88.6%를 차지했다.


< 분야별 부정수급 신고 건수 >

(단위 : / %)

구 분

합계

보건

복지

산업

자원

교육

고용

노동

농축산식품

행정

자치

여성

가족

재정

경제

문화

관광

신고건수

123

43

34

15

9

8

5

4

3

2

비율

100

35.0

27.6

12.2

7.3

6.5

4.1

3.3

1.2 

1.6

부정수급 유형별로 살펴보면 운영비·사업비 부정수급이 94(58.0%), 인건비 39(24.1%), 각종 급여 29(17.9%) 등으로 회의개최 실적이나 교육생 출석부를 작하는 등 사업실적을 허위 작성한 사례가 38(23.5%)으로 가장 많았다. 

실제 근무하지 않는 직원을 허위로 등록한 사례도 36(22.2%)이나 됐다. 

이 외에도 각종 급여 수급기준 이상의 근로소득이나 재산소득 등을 숨긴 사례 25(15.4%), 보조금 등 당초 교부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사적 용도로 사용한 사례 24(14.8%),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 등 정산서류를 조작한 사례 18(11.1%), 공사비나 물품구입비를 부풀린 사례 14(8.6%) 등이었다.

대상 사업별로는 기술연구개발(R&D)28(22.8%)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기초생활급여 18(14.6%), 어린이집 10(8.1%), 사학비리 8(6.5%), 농업지원 7(5.7%), 교육지원 6(4.9%), 복지시설 5(4.1%), 요양급여 4(3.3%), 실업급여일자리 창출창업지원평생직업교육한부모가족지원 각 3(2.4%)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는 부정수급 사실이 확인되면 검찰·경찰·감사원 등에 이첩 처리토록 하며 신고를 통해 환수된 금액에 따라 최대 30억 원의 보상금 또는 최대 2억 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고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올해 ‘노쇼사기’ 피해 4,506건, 피해액 737억 원에 달해
강원경찰청이 지난 3일 캄보디아에 거점을 둔 ‘노쇼(예약취소)사기’ 조직 114명을 검거하며 대규모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월~9월까지 노쇼(no-show) 사기 접수 건수는 4,506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액은 737억 원이다. 4일 국회 정무위 소속, 허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경찰청으로 제출받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이미 전국 단위의 ‘노쇼 사기’ 피해 현황은 심각한 수준이며, 접수 865건 중 실제 검거 건수는 309명에 불과했다. ‘노쇼 사기’는 군부대·경호처·정당 등의 기관을 사칭해 단체 구매를 예약하고 대량 주문으로 쌓인 고객 확보 기대를 바탕으로 대리 구매를 유도해 범죄계좌로 송금을 하게 하는 신종 사기 수법이다. 대량 주문에 따른 기대를 갖는 소상공인, 자영업자의 심리를 교묘히 악용하는 노쇼 사기는 음식, 물품 손실은 물론 다른 손님 유치 기회 상실로 인한 이중의 피해를 발생시켜 영세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생계를 위협하는 범죄다. 이와 관련해 허영 의원은 5일 “강원경찰청이 이번에 검거한 ‘노쇼 사기’ 조직도 캄보디아 등 해외에 거점을 둔 조직화 된 범죄집단임이 확인됐다”며 “이미 ‘노쇼 사기’ 범죄는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