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2일 화요일

메뉴

사회·문화


전문의도 지역간 불균형 심각 ...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필수의료 붕괴 우려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지역격차 악화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지역별 인구 1만 명당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이하 : 주요 필수과목) 활동 전문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분포가 불균형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요 필수과목의 인구 만 명당(이하 생략) 활동 전문의 수 현황을 살펴보면, 2022년 ▲서울 5.20명, ▲광주 4.92명, ▲대구 4.70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2013년 대비 22년 증가량도 각각 ▲0.95명, ▲0.76명으로 상위권이었다.

 

2022년 기준 주요 필수과목의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2.78명, ▲충남 3.08명, ▲충북 3.12명 순 이었으며, 2013년 대비 증가량도 ▲경북 0.08명, ▲충남 0.30명 순으로 가장 적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인구 만명당 활동 흉부외과 전문의는 ▲대전 0.34명, ▲서울 0.31명, ▲제주 0.28명 순으로 많았다. 대전은 2013년에도 0.28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가장 많았는데, 13년 대비 22년 증가량도 0.06명으로 2위에 속했다.

 

2022년 기준 흉부외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기 0.16명, ▲충남 0.18명, ▲인천 0.18명 이었으며, 충남은 2013년 대비 증가량도 0.01명으로 16개 시도 중 가장 적었다.[표2]

 

산부인과 전문의의 경우 2022년 기준, ▲서울 1.7명, ▲광주 1.48명 ▲부산 1.44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13년 대비 증가량도 각각 0.25명, 0.16명으로 많았다.

 

2022년 기준 산부인과 의사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0.78명, ▲충북 0.88명, ▲충남 0.88명 순 이었다. 특히, 경북은 2013년에도 산부인과 전문의가 0.8명으로 가장 적었는데, 이 당시 보다 오히려 0.02명 더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경우 2022년 기준, ▲광주 1.63명, ▲대구 1.49명, ▲서울 1.47명 순으로 많았다. 특히, 대구는 2013년 대비 증가량이 0.29명으로 전체 16개 시도 중에서도 두 번째로 많은 도시이다.

 

2022년 기준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북 0.73명, ▲전남 0.85명, ▲충남 0.89명 순 이었다. 경북과 전남은 13년 대비 증가량도 각각 0.06명, 0.14명으로 가장 적었다.

 

외과 전문의의 경우 2022년 기준, ▲서울 1.72명, ▲대구 1.61명, ▲광주 1.57명 순으로 많았다. 서울과 광주는 2013년대비 증가량도 각각 0.4명, 0.28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상위권이었다.

 

2022년 기준 외과 전문의가 가장 적었던 지역은 ▲경기 0.99명 ▲경북 1.07명 ▲충북 1.07명 순 이었으며, 경북은 2013년 대비 증가량도 0.02명으로 16개 시도 중에 가장 적었다.

 

이에 신현영 의원은 “필수의료 붕괴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지역별 의료인력의 불균형 격차가 더욱 심각해지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며,“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대란 등 국민의 소중한 생명을 잃는 상황을 재연하지 않기 위해, ‘지역 필수의료 전문의 육성 및 지원 정책’을 우선 순위로 하여 국가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소비자원, 직원 사칭· 대리결제 등 소상공인에 '사기 주의보'
한국소비자원이 기관 직원을 사칭하며 자영업자에게 접근해 판매물품 구매를 조건으로 다른 물품 결제를 대신하도록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며 소상공인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1일 소비자원에 따르면 한 남성이 꽃집, 화훼농원 등에 전화해 "한국소비자원 직원인데 나무, 화분 등을 대량 구매하고 싶다"며 견적서를 요청했다."이후 기관 상징(CI)과 홈페이지 주소가 인쇄된 명함을 보낸 뒤, ‘물품 구매 확약서’ 작성이나 홍삼·매실원액 등 다른 제품을 대신 구입해 달라며 대리 결제를 유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어려운 경기를 틈타 소상공인들의 절박한 심리를 이용한 사기 행위가 끊이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공공기관은 결코 물품 구매를 위해 대리 결제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한편, 소비자원은 소상공인에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구매대행 요구에 절대 응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일 '햅핑'이 운영하는 '의류 도매 S-마트' 쇼핑몰을 이용한 소비자 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소비자원은 최근 1년간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상담 81건은 대부분 배송 지연 등으로 인한 정당한 환급 요구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