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메뉴

사회·문화


초중고 사교육비 약 27조 1천억원, 전년대비 1조 2천억원 증가

통계청 2023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통계 발표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조사한 2023년 초중고 사교육비 총액은 약 27조 1천억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조 2천억 원이 증가(4.5%)한 금액이다. 사교육 참여율은 78.5%, 주당 참여 시간은 7.3시간으로 전년 대비 각각 4.5%, 0.2%p, 0.1시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내용은 2023년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통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학급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학교급별 세부적으로 보면 초등학교 12조 4천억원, 중학교 7조 2천억원, 고등학교 7조 5천억원이다.  전년대비 초등학교는 4.3%, 중학교는 1.0%, 고등학교는 8.2% 각각 증가했다.

 

반면, 학생수는 ’22년 528만명에서 ’23년 521만명으로 약 7만명 감소(1.3%)했다.

 


사교육 참여율은 78.5%(0.2%p 증가), 주당 참여시간은 7.3시간(0.1시간 증가)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교 86.0%, 중학교 75.4%, 고등학교 66.4%로 전년 대비 초등학교 0.8%p, 고등학교 0.5%p 증가하였고, 중학교는 0.8%p 감소했다.

 

참여시간은 초등학교 7.5시간, 중학교 7.4시간, 고등학교 6.7시간으로 전년 대비 초등학교  0.1시간, 고등학교 0.1시간 증가, 중학교 0.1시간씩 감소했다.

 


전체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3만 4천원이고, 참여학생은 55만3천원 전년대비 각각 5.8%, 5.5% 증가


 

전체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초등학교 39만 8천원(2.5만원, 6.8%↑), 중학교 44만 9천원(1.2만원, 2.6%↑), 고등학교 49만 1천원(3.2만원, 6.9%↑)으로 나타났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일반교과 32만 6천원(1.6만원, 5.3%↑), 예체능 및 취미·교양 10만 5천원 (0.7만원, 7.1%↑)이다.

참여학생의 교과목별로는 영어(24.8만원), 수학(23.3만원), 국어(14.8만원), 사회‧과학(13.7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가구의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음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 1천원이고, 소득이 300만원 미만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18만 3천원으로 사교육비는 소득수준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평균 사교육비를 70만원 이상 지출한 학생 비중은 22%로 전년대비 2.9%p 증가했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 경기, 세종, 대구, 부산이 전국평균보다 높고, 참여학생은 서울, 경기, 대구, 세종이 전국평균보다 높음


지역별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서울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참여학생 사교육비는 서울, 경기, 대구, 세종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는 서울(98만 8천원), 경기(79만 6천원), 인천(75만 1천원)이 평균보다 높고, 

중학교는 서울(76만원), 대구(64만 2천원), 경기(62만 5천원), 부산(60만 9천원)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서울(62만 1천원), 세종(49만 3천원), 대구(48만 5천원), 경기(46만 6천원), 부산(46만 4천원)이 평균보다 높았다.

 

시도별 사교육 참여율은 서울, 세종, 경기, 대구, 부산이 전국 평균보다 높다. 


방과후학교 참여율 41.0%, EBS교재 구입비율 16.1%, 어학연수 참여율 0.5%


방과후학교 참여율은 전년대비 4.8%p 증가했고, EBS교재 구입비율은 0.3%p 감소, 어학연수 참여율은 0.3%p 증가했다.

 

한편, 초중고 전체 학생수는 약 521만명으로 전년대비 약 7만명(-1.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한 통계자료는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강원도, 강릉 가뭄 대응 2단계 격상…“2주 뒤 큰 피해 불가피”
강릉에 재난사태가 선포된 지 하루 만에 강원특별자치도가 대응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 도는 31일 가뭄 대책 긴급회의를 열고 재난안전대책본부를 2단계 체제로 격상,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하기로 했다. 이번 회의는 여중협 행정부지사 주재로 강원도교육청,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석해 분야별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도는 취약계층 물 공급과 소상공인 피해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농업용수 부족에 따른 농작물 피해 최소화에 나선다. 리조트·관광지에 절수를 요청했고, 휴교·단축수업 및 급식 대책도 검토 중이다.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홍제정수장은 현재 전국 소방차들이 운반한 물에 의존하고 있다. 주 공급원인 오봉저수지는 저수율이 14.9%까지 떨어지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에 따라 수도 계량기의 75%를 잠그는 제한급수가 시행되고 있다. 도는 전국 살수차 지원, 민간 기부와 자원봉사까지 연계해 총력 대응할 계획이다. 또 9월 1일부터는 현장 관리관을 파견해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여 부지사는 “현재로서는 뚜렷한 강수 예보가 없어 2주 뒤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모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범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