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12.0℃
  • 맑음서울 7.9℃
  • 맑음대전 7.1℃
  • 맑음대구 7.8℃
  • 구름많음울산 9.5℃
  • 구름조금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3.0℃
  • 맑음고창 7.4℃
  • 구름많음제주 15.8℃
  • 맑음강화 5.1℃
  • 맑음보은 3.8℃
  • 맑음금산 5.2℃
  • 구름많음강진군 8.4℃
  • 구름조금경주시 6.5℃
  • 흐림거제 10.6℃
기상청 제공

2025년 11월 05일 수요일

메뉴

사회·문화


상봉 못한 채 사망한 이산가족, 연간 2천명

이산가족 연3천800명 사망

현재 중단 상태에 있는 이산가족 상봉을 광복절 등을 전후해 조속히 재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용화 선임연구원과 홍순직 수석연구위원이 12일 내놓은 ‘이산가족 상봉 재개 더는 시간이 없다’ 보고서에 따르면 당국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2012년 4찬 386건 성사됐으며 2만1천891명이 만남에 성공했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활성화한 당국 차원의 이산가족 상봉은 꾸준한 증가세였지만 2009~2010년에는 2차례에 걸쳐 1천770여명만 성사됐고 2008년과 2011~2012년에는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1988년부터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에 등록을 시작한 이산가족 상봉신청자는 12만8천808명으로, 이 중 현재 7만3천461명(57%)만 생존해있고 5만5천347명(43%)은 사망했다.

생존자 모두가 50대 이상이며 70대 이상이 전체의 80.5%에 달한다.

이산가족 사망자는 연간 약 3천800명에 달하며 사망률과 상봉률 격차로 인해 상봉 기회를 갖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산가족은 연간 2천명에 이른다.

이에 연구진은 “현재의 이산가족은 사망률과 평균 기대여명으로 볼 때 20~24년 후면 모두 사망하고 특히 70세 이상의 대부분은 10년 이내에 사망할 것으로 보인다”며 “생존자들이 생애 한 번이라도 이산가족을 만나려면 매년 상봉 규모를 7천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전했다.

이희 기자 / leehee@mbceconomy.com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