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2025년 08월 08일 금요일

메뉴

산업


홈플러스 '부채비율 1400%'…MBK, 알고도 어음 발행했나

차입금의존도·영업이익 악화…신평사 재무 전망도 부정적
일각에서는 MBK의 홈플러스 CP·전단채 사기 의혹 제기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겉으로 신용등급 하락을 이유로 기습적인 홈플러스 기업회생(법정관리) 절차를 신청하기 직전까지 기업어음(CP)을 발행한 것을 두고 시장의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MBK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이미 부채비율이 과도한 데다, 일부 상거래 채권 상환까지 지연되는 상황에서 MBK가 신용평가 하락을 짐작도 하지 못했다는 해명에 의문이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가 홈플러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1월 말 기준 홈플러스의 부채비율은 1,408.6%로 국내 상장사 평균(2023년 기준 108%)의 거의 14배다. 이는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부도를 맞거나 부실이 심화한 대기업들의 부채비율과 비슷한 수준이다. 

 

MBK가 제시한 지난 1월 말 부채비율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이 역시 재무위험이 높은 수준이다. 통상 부채 총액을 자본 총액으로 나눠 산출하는 부채비율이 400% 이상이면 부실 징후가 있는 것으로 본다. 금융감독당국은 외환위기 이후 부채비율이 200%를 초과한 기업의 여신과 재무구조를 관리하고 있다.

 

차입금의존도는 72.6%로 전년 11월(71.0%)보다 되레 악화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분기 기준 국내 외부감사 대상 기업의 평균 차입금의존도가 25.7%인 것을 감안하면 홈플러스의 차입금의존도는 3배 가까운 수준이다.

 

MBK는 보도자료에선 영업손익 수치를 쏙 뺐지만 2024회계연도(2024년 3월∼2025년 2월) 1∼3분기 영업손실은 1,5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 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MBK는 그나마 수익이 나는 슈퍼마켓(홈플러스 익스프레스)을 따로 떼어내 매각하려 했으나 인수 희망자를 찾지 못한 상황이다. 더구나 회생 절차 개시로 매각 작업마저도 중단됐다. 결국 실질적인 재무 건전성 및 사업 수익 지표부터 중장기 전망까지 모두 따져봐도 신용등급을 유지할 만한 근거가 희박했던 셈이다.

 

업계 일각에서 MBK의 홈플러스 CP·전단채 사기 의혹이 제기되는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MBK는 신용등급 강등 직전인 지난달 25일에도 운영자금 등을 조달하고자 증권사를 통해 CP와 전단채를 일반 투자자에게 판매했다.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 개시로 해당 CP·전단채 신용등급은 'D'까지 떨어져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됐다. MBK가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한 지난 4일 기준 CP·전단채 발행 잔액은 1,880억원이다.

 

만약 MBK가 회생 절차 신청의 직접적 계기가 된 신용등급 하락을 예견했음에도 CP·전단채 발행을 강행했다면 도덕적 해이(모럴 해저드)에 따른 사회적 비난이 거세질 수 있다.

 

 

 

 

 




HOT클릭 TOP7


배너






사회

더보기
사회적기업협의회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 전개”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사)한국사회적기업중앙협의회 소속 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여성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등 대표 일동은 8일 “주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통한 우리의 실천이사회적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며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우리 사회에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사회서비스를 확충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사회통합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면서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이 고용한 총 71,950명 노동자에 64%(46,385명)가 취약계층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안전망을 구축해 온 것은 고용을 통한 지역문제 해결의 성공한 정책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제 우리 협의회는 '일자리 창출'을 넘어, 4.5일제 참여를 통해 일과 가정의 균형과 안전한 노동 환경을 조성하는 ‘일과 삶의 균형 있는 일자리 안정망’의 사회적 혁신을 선도하고자 한다”면서 “나아가 우리의 실천이 사회적기준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장에서 4.5일제 참여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겠다. 전국 3,762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4.5일제 자발적 참여를 홍보 해나가겠다”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