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 1일 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이재명 정부가 민관 총력 외교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현실적인 경제적 손실과 불확실성의 해소를 위해 조속한 타결을 원하는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과도한 관세 인상 요구와 외교적 결례 등 일방적 협상 자세를 취하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부정적 여론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한미 관세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 원인에 대해 국민 절반 이상이 '트럼프 미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고 답변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이하, KSOI)가 7월 30일 3차 정기조사 결과를 발표에 따르면, 무역 관세 협상의 책임을 묻는 조사에서 ’무리한 요구를 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이 55.6%,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이재명 정부‘(37.5%)의 책임이다'가 37.5% 집계됐다. 이념별로는 진보층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는 응답이 86.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도층에서도 57.4%로 높았다.
또 관세협상 과정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일방적 자세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는 ’공감한다‘는 의견이 53.7%로 ’공감하지 않는다‘(27.7%)는 의견보다 26.0%P 높게 나타났다. 모든 성/연령/지역에서 ’공감한다‘는 의견이 높았으며, 특히, 보수층에서도 ’공감한다‘는 응답이 45.2%로 ’공감하지 않는다‘는 응답(41.5%)에 비해 3.7%P 높게 나타났다.
향후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이재명 정부가 ’시한 내 협상타결을 위해 유연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49.6%로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해 당당하게 대응해야 한다‘(39.3%)는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60대를 제외하고 전 연령대에서 ’유연한 접근‘이 높았으며, 2~30대(20대 61.6%, 30대 54.7%)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는 지난 7월 28일-29일 양일 간 통신사 제공 무선 가상번호를 통해 전국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ARS자동응답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은 ±3.1%P이다.

한미 관세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고 있는 원인애 대해 ’무리한 요구를 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는 의견이 55.6%로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이재명 정부‘(37.5%)의 책임이라는 의견보다 18.1%P 높게 조사됐다. 이념별로는 진보층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책임이 크다‘는 응답이 86.0%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중도층에서도 57.4%로 높았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긍정평가는 58.8%(‘매우 잘하고 있다’ 42.1%, ‘대체로 잘하고 있다’ 16.8%)로 부정평가 35.5%(‘매우 잘 못하고 있다’ 26.4%, ‘대체로 잘 못 하고 있다’ 9.1%)에 비해 23.3%P 높게 나타났다. 지난 2차 조사와 비교해 긍정평가는 2.8%P 낮게, 부정평가는 2.6%P 높게 나타나 격차가 23.3%P 차이로 다소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