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건설


文정부 5년, 서울 전세입자 내 집 마련 비용 1.6억→4.4억 ‘껑충’

 

문재인 정부 5년차 들어 서울 아파트 전세 세입자가 매매로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평균 4억4,000만원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부동산원이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2017.6~2021.6월간 서울 아파트 시세 현황’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6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시세와 전세시세 차이가 4억 4,748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는 평균 4억4,000여만원의 비용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더욱이 문재인 정부가 취임한 2017년 6월에는 시세차가 1억6,691만원에 불과했으나 △2018년 6월 2억4,567만원 △2019년 6월 3억1,946만원 △2020년 6월 4억1,717만원 △2021년 6월 4억4,748만원으로 해마다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 5년간 전세입자의 내 집 마련 비용이 2.7배나 늘어난 셈이다.

 

자치구 중 매매·전세 시세차이가 가장 큰 곳은 강남구로 올해 6월 기준 9억1,064만원에 달했다. 다음으로 △용산구 8억1,625만원 △서초구 7억9,122만원 △송파구 6억2,048만원 △성동구 6억1,961만원 등 순이었다. 이외에 △영등포구 △양천구 △동작구 △마포구 등도 평균 4억원 이상의 매입비용이 필요했다.

 

한편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6월 당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매매 갈아타기 비용이 1억 미만인 곳이 11곳이나 되었으나 5년여가 지난 현재 1억 미만인 자치구는 단 한곳도 없었다. 오히려 서대문구는 매매·전세 차이가 8,939만원에서 3억4,699만원으로 급증했고, 노원구 또한 7,252만원에서 2억8,757만원으로 올라섰다. 6,710만원으로 격차가 가장 적었던 구로구 조차도 집을 사기 위해서는 2억5,667만원이 필요했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부 이전 불과 5년여 전만 해도 서울에서 전세로 살면서 1억만 모으면 내 집 마련이 가능했다”며 “최소한의 희망을 가질 수 있었던 세상이, 문재인 정부의 실정으로 완전히 망가졌다. 곧 문재인 정부는 퇴장하지만, 망가뜨린 주거 사다리는 두고두고 국민을 힘들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HOT클릭 TOP7


배너






배너

사회

더보기
[속보] 서울시, ‘화정아이파크 붕괴’ HDC현산 1년 영업정지 명령
서울시가 2022년 발생한 광주 화정아이파크 신축현장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HDC현산)에 대해 1년간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서울시는 지난 14일 행정처분 공고를 통해 “부실한 시공으로 인한 심각한 손괴 및 인명 피해 유발”을 사유로 HDC현산에 대해 8개월의 영업정지를 결정했으며, 여기에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으로 인한 중대재해 발생 책임을 더해 추가로 4개월, 총 12개월의 처분을 부과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처분은 오는 6월 9일부터 2026년 6월 8일까지 적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곧바로 회사 운영에 중대한 제약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영업정지 처분이 확정되면 신규 수주는 제한되지만, 이미 계약된 사업은 지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사례에서도 유사한 상황이 있었다. 화정 사고보다 앞선 2021년 광주 학동 철거현장 붕괴사고와 관련해 서울시는 HDC현산에 8개월의 영업정지를 명령했지만, 회사 측이 법원에 집행정지 가처분을 신청하고 행정소송을 제기해 현재 항소심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편,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4월 21일 학동 사고에 대한 1심에서 HDC현산의 중대한 과실을 인정하고 원고 패소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