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본격화된 가운데 국내 경제학자들이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1.6%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회장 손경식, 이하 경총)가 경제학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평균 1.6%로 정부 예측(1.8%)보다 낮게 보고 있으며, 향후 우리 경제 상황에 대해 응답자의 64%가 “상당 기간 경제 성장이 정체될 것”으로 전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학자 100명의 올해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1.6%로, 정부 전망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정부 전망치 1.8%보다는 높을 것이라는 응답은 26%에 그쳤다.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서도 '상당 기간 동안 성장이 정체'될 것이라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으로 '일정 기간 하락 후 완만한 속도로 회복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이 35%였으며, '일정 기간 하락 후 반등해 가파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응답한 경제학자는 없었다.
한국의 전반적인 산업경쟁력에 대해서도 '비관적'이라는 응답이 56%로 가장 많았고 '중립적'이라는 응답은 34%, '낙관적'이라는 응답은 9%에 그쳤다.
트럼프 행정부 관세정책에 대해서는 대부분 우려의견을 표했다. 응답자의 83%는 '美 보호무역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으로 답했다. '미-중 갈등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는 응답은 8%에 그쳤다.
글로벌 경쟁력 제고와 저성장 극복을 위한 정책 필요성과 시급성을 평가한 결과 '산업 구조개혁 촉진, 노동시장 선진화, 기업 규제 개선'은 필요하다는 응답이 90%를 넘었으며, 시급성이 높다는 응답도 모두 70% 이상을 기록했다.
탄핵 정국과 여야 대립 등 최근 정치 혼란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단기간 동안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나, 중장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57%로 가장 높았다. '단기는 물론, 중장기적으로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도 40%로 나타났으며,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 응답은 없었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최근 첨단기술 경쟁 심화, 보호무역 확산, 소비 부진 같은 요인들로 우리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경제학자들도 지금의 경제 상황과 향후 전망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자국 우선의 냉혹한 글로벌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기업들이 생존하고 경제가 재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