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세 사기 여파와 전세의 월세화 현상 등으로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의 월세 거래가 증가한 반면 전세 거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의 월세 거래가 6년째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전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을 넘었다.
상업용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부동산플래닛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매매 및 전·월세시장 동향 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전년보다 0.5% 감소한 13만7천315건을 기록했다. 거래 종류별로 전세 거래는 6만2천657건으로 전년 대비 12.4% 줄어든 반면 월세 거래(7만4천658건)는 12.4% 늘었다. 이에 따라 전세 거래는 3년째 감소세를, 월세 거래는 6년째 증가세를 기록하게 됐다.
지난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은 54.4%로 나타났다. 월세 유형별로는 전체 월세 거래에서 ▲ 준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분) 53.4% ▲ 준전세(보증금 월세의 240개월분 초과) 37.9% ▲ 순수 월세(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분 미만) 8.7%로 각각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준전세(2만8천309건)가 전년보다 45.2% 증가하면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나타냈다.
서울시 25개 구별로 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1만1천142건)였으며 강서(5천307건), 강남(4천392건), 강동(4천320건) 등이 뒤를 이었다. 성동(-7.9%)은 유일하게 감소세를 기록했다. 전세 거래의 경우 성북(0.8%)을 제외하고 24개 지역에서 모두 줄었다.
정수민 부동산플래닛 대표는 "비아파트 시장의 월세 선호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해 서울시 연립·다세대주택 시장에서는 월세 거래 비중이 전세를 뛰어넘는 등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면서 "초기 보증금 부담과 전세 사기 우려, 보증금 회수에 대한 불안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 영등포구에서 연립주택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세입자들이 전세사기 우려로 낮은 보증금의 매물을 선호한다"고 밝혔다.